농촌진흥&사이언스

새롭게 태어난 ‘농업관측센터’

KREI, 농업관측 고도화 위한 독립성·전문성 강화
오송 관측상황실 기능 확대 시행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 ‘농업관측본부’는 전문성과 독립성을 높이고 관측 전문기관으로서의 위상과 역할을 강화하여 7월 1일부로 ‘농업관측센터’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거듭난다.

 

이번 농업관측센터 개편은 정부의 수급 정책 수립과 농업인의 영농의사 결정에 필요한 정보인 ‘농업관측’의 정확도를 높여 나가기 위해 이뤄졌으며, 지난해 ‘관측 고도화 로드맵’을 마련하고 ‘실측조사’를 도입한 것도 이러한 농업관측의 정확도를 높이는 고도화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농업관측센터는 품목 중심의 기존 관측본부를 기능적 조직으로 개편하기 위해 각 분야별 전문인력을 대폭 보강하여 실측조사 도입에 따른 산지 정보수집 기능을 강화한다. 또한, 모형팀을 신설하여 예측력 제고에 필요한 통계와 모형 설계‧분석기능을 제고하는 등 ‘농업관측 고도화’를 통한 정밀 농업‧과학농정으로의 도약을 뒷받침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로드맵 추진을 위해 조직과 규정에도 변화가 있었다. 농업관측센터로의 명칭 변경뿐 아니라 농업관측센터장의 임명기준을 기존 ‘연구위원급 이상’에서 부서장 중 최상위 직급인 ‘선임연구위원’으로 격상했다.

 

또한, 일반 연구부서에서 별도 사업부서로 독립해 농업관측사업의 운영 여건을 강화했다. 이와 함께 위임전결 규정도 개정했다. 관측센터장이 품목팀장과 품목담당의 실질적인 보직관리 등을 통한 전문성 강화에 주력할 수 있도록 인사 운영 권한도 대폭 확대한 것이다.

 

 

한편, 앞으로 확대가 예상되는 분야에 대한 조직 강화도 이루어져졌다. 기존 엽근채소관측팀 한 개 팀이 상주해 온 ‘오송 농업관측상황실’에 6월 1일자로 산지조사팀, 축산관측팀을 추가 배치하는 등 상황실 기능을 확대‧개편했다.

 

이를 위해 사무실 이전(오송 사방협회 빌딩)도 이루어졌다. 한편, 농작물 실측조사를 담당하는 산지조사팀의 조사원을 나주 본원과 충북 오송에 분산 배치하여 조사활동의 효율성을 높이고 긴급 상황 발생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체계도 갖추었다.

 

연구원은 앞으로도 이번에 마련된 농업관측사업 운영체계 고도화와 독립운영 로드맵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드론 등 첨단기술을 접목하여 농업관측을 데이터 기반으로 과학화하고,

 

실측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축적‧개방하는 것은 물론, 수급예측모형 경진대회도 정례화하는 등 농업관측사업이 고도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농축산물의 수급조절 및 가격안정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과수농협연합회, ‘2025 대한민국 과일산업대전’ 11월 27일 개막
국산 과일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한자리에서 조망하는 ‘2025 대한민국 과일산업대전’이 11월 27일부터 29일까지 대전컨벤션센터(DCC) 제2전시장 1·2홀에서 열린다. 올해 15회를 맞는 이번 행사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고 한국과수농협연합회가 주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과일 산업 박람회다. 행사 기간에는 전국 대표 과일부터 신품종까지 전시가 이뤄지며 관람객은 시식·체험·구매를 한 자리에서 즐길 수 있다. 대한민국 대표과일 선발대회 시상식, 사랑의 과일 전달식, 우리과일 요리경연대회 등 무대 프로그램이 이어지고, 가족 단위 방문객을 위한 ‘우리과일 칵테일쇼’, ‘실감체험’, ‘AI사진관’ 등 참여형 콘텐츠도 운영된다. 어린이 식생활 교육을 겨냥한 ‘어린이 우리과일 탐험대’는 7대 과종과 신품종을 배우고 맛보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주최 측은 놀이 기반 학습을 통해 국산 과일에 대한 친밀도를 높이고 일상 소비로 연결되도록 기획했다고 설명했다. 주제별 전시관도 마련됐다. 대표과일 선발대회 수상작을 모은 ‘대표과일관’, 기후적응형 품종을 포함한 ‘신품종소개관’, 정책·유통 정보를 제공하는 ‘과일정책홍보관’에서 품종 특성, 저장·유통, 안전관리 체계를 한눈에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