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고구마 신품종 ‘소담미’ 개발

 

- 저장성 높고 수량도 많아… 맛도좋아 국산 품종 점유율 향상 기대

- (사)한국고구마산업중앙연합회 김남익 회장 “소담미 신품종 기대감 크다"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달고 부드러운 맛과 저장성이 우수한 고구마 ‘소담미’ 품종을 개발, 보급한다고 밝혔다.

‘소담미’는 식미, 겉모양(외관상품성), 감미도 평가에서 외래 품종 ‘베니하루까’보다 높은 점수*를 받아 외래 품종 대체 및 국산 고구마 품종 점유율 확대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르면 올해 4월부터 농업기술실용화재단과 시군 농업기술센터 등을 통해 농가에 보급될 계획이다.

 

생김새가 탐스럽고 먹음직스러워 이름 붙여진 ‘소담미’는 자줏빛 빨강색 껍질에 진한 노란색 육색을 지녔다. 150일 재배 시 외래 품종 ‘베니하루까’보다 수량이 많으며 저장 중에도 단맛이 강해지고 육질이 부드러워지는 특성이 있다.

고구마 상품 수량은 120일 재배 시 헥타르(ha)당 19.7톤이나 150일 재배 시에는 24.4톤으로 외래 품종 ‘베니하루까’ 보다 61% 더 많다.

 

덩이뿌리가 많이 달리기 때문에 수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150일 이상 재배해야 한다. 덩굴쪼김병과 고구마뿌리혹선충 저항성이 중간 정도이므로 상습적으로 병이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소담미’를 쪘을 때 단맛의 정도(감미도)가 ‘19.1’로 높고, 육질이 부드러워 진다.

9개월 이상 저장해도 부패와 내부 공동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장기간 저장하면서 출하시기를 조절할 수 있어 생산자와 유통업자들이 선호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경기 여주, 전남 영암과 해남 등 주산지에서 ‘소담미’의 빠른 보급을 위해 신품종이용촉진사업을 진행 중이다.

(사)한국고구마산업중앙연합회와 공동으로 충남, 전북 등 8개 지역, 4헥타르 이상 면적에서 시범재배를 실시하고, 청년농업인, 농가, 가공업체를 대상으로 상담도 추진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은 ‘호감미’, ‘풍원미’, ‘진율미’ 등 기능성과 재배안정성이 우수한 고구마 품종을 지속적으로 개발·보급하고 있다. 2025년에는 국내 고구마 품종 점유율을 50%(2021년 기준 37.1%)까지 높일 계획이다.

(사)한국고구마산업중앙연합회 김남익 회장은 “‘소담미’ 같은 우수한 국내 고구마 신품종이 많이 개발돼 우리 농업인의 소득도 함께 오를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항산화 활성 높인 ‘맥아차’ 제조기술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검정색 2줄 겉보리 ‘흑호’를 이용해 항산화 효과가 높은 맥아차(발아 보리차) 제조 기술을 개발하고 특허출원 후 관련 기술을 산업체에 이전했다고 밝혔다. 국립식량과학원 맥류개발과 연구진은 ‘흑호’로 만든 맥아가 일반 보리에 비해 몸속 유해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력이 월등히 높고, 총페놀성화합물과 프로안토시아니딘 등 건강에 이로운 생리활성 성분이 더 풍부하다는 사실을 과학적으로 입증해 논문으로 발표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진은 맥아의 기능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맛과 색을 최적으로 끌어낼 수 있는 맥아 제조 공정을 개발했다. 먼저 보리를 물에 담가 충분히 불린 뒤, 14~18도(℃)에서 일정 기간 싹을 틔운다. 다음으로 싹과 뿌리를 제거하는 정리 과정을 거쳐 240~260도(℃)에서 일정 시간 볶아 풍미를 높인다. 마지막으로 뜨거운 물로 추출해 영양소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깔끔한 향미를 지닌 맥아차 제조법을 완성했다. 농촌진흥청은 이 기술을 특허출원해 산업체에 이전했으며, 현재 업체에서는 농축액 형태의 액상 시제품 출시를 앞두고 있다. 농촌진흥청 기초식량작물부 박기도 부장은 “이번 연구는 검정 보리의 기능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 산업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