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계란 하루 1개 섭취는 심혈관 질환 위험 낮춘다

 -아시아인에선 계란 하루 1개 섭취가 심혈관 질환 예방에 효과적
 -건강 논쟁 중 가장 긴 ‘핑퐁 게임’에 종지부 
 -미국 하버드대학 프랭크 후 교수팀, BMJ 최근호에 발표

계란을 하루 한 알 섭취하는 것은 심혈관 질환 발생과 무관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우리 국민의 평균 계란 섭취량은 하루 1개가 채 되지 않는다. 
 10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미국의 뉴스전문 방송매체인 CNN은 ‘새 연구결과, 하루 1개의 계란 섭취는 좋아’(An egg a day may be fine for you after all, a new study says)란 제목의 4일자 기사를 통해 “건강 관련 ‘핑퐁 게임’ 중 가장 길었던 ‘계란의 심장 유해 여부’ 논란의 종지부를 찍을만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다”고 보도했다.  
 이 기사에 소개된 연구를 수행한 미국 하버드대학 공중보건대학원 프랭크 후 교수는 “하루에 계란 1개를 섭취하는 것은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없다”고 말했다.
 후 교수팀은 만성질환이 없는 남녀 21만5000명의 계란 섭취량과 심장 건강의 상관성을 34년간 추적ㆍ관찰했다. 대부분은 매주 1∼5개의 계란을 섭취했다고 응답했다.
 연구에 참여한 대다수에서 계란 섭취와 심혈관 질환 위험의 관련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유일한 연관성은 제2형(성인형) 당뇨병 환자에서만 나타났다. 


 후 교수는 “평균적으로 대부분의 사람은 하루에 계란을 한 개 이상 먹지 않는다”며 “아침 한 끼에 계란을 두 개 먹었을지 모르지만 이런 일은 매우 드물고, 계란의 평균 섭취량은 하루에 1개도 안 된다”고 지적했다. 
 후 교수팀은 유럽ㆍ아시아ㆍ미국에서 이뤄진 계란과 심장병 관련 여러 연구를 메타(meta) 분석했다. 메타 분석은 이미 실시된 기존 연구에서 시사점을 찾는 연구다. 메타 분석을 통해 모두 170만명의 계란 섭취 습관을 조사했고 그 결과 하루에 한 개까지 먹는 것은 심장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했다. 


 후 교수는 “적당량의 계란 섭취는 아시아인의 심장병 발병률을 오히려 약간 낮췄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미국 터프츠 대학 앨리스 리히텐슈타인 교수는 “우유ㆍ적색육(붉은 고기)ㆍ육가공식품 등을 계란으로 대체하면 심혈관 질환을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영국의학저널(BMJ) 최근호에 실렸다. 


 한편 계란은  코로나 19 예방 돕는 면역력 증강에 매우 효과적인 식품으로 통한다. 단백질ㆍ비타민 Aㆍ비타민 Dㆍ비타민 Eㆍ아연 등 5대 면역 관련 영양소가 풍부해서다. 특히 단백질은 바이러스를 없애는 항체의 주성분이고, 비타민 A는 옛 별명이 항(抗)감염 비타민이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농어촌희망재단 ‘가락상생기금’...산불 피해지역 영농복구에 앞장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회장 이원석)와 회원사 및 농협가락공판장은 지난 3월 안동 등 영남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영농 복구와 회생을 위해 주도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피해 복구 지원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 가락시장지회가 10억 원을, 협회 회원사 등이 4억 700만원을 출연하여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을 통해 추진한 공익사업이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도매법인과 2023년 12월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도매시장 내 민간 법인의 사회적 책임 확대 및 농어촌 지원을 위한 협약체계를 구축한바 있다. 기부금은 경북(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경남(산청, 하동), 울산(울주) 등 8개 시․군의 피해 농업인 약 8,000여명에게 총 10억 3천만원 규모의 영농자재 교환권 1만여 매와 농기계 46대 등으로 전달되었다. 이번 지원은 ‘가락상생기금’을 활용한 첫 대규모 재해복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