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한돈협, 도매시장 활성화 대책 간담회

“돼지 1등급 이상 출현율 전국 67.4%, 도매시장 59.8%, 7.6%p 차이”
“고품질 규격돈 출하로 도매시장 활성화 위해 노력할 것”

대한한돈협회(회장 하태식)은 지난 2월 12일 농협 고령축산물공판장(장장 김영호)에서 돈가안정 및 도매시장 활성화 대책을 모색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이기홍 부회장과 경북도협의회 최재철 회장, 이동균 고령지부장, 권호산 영천지부장과 고령축산물공판장 김영호 장장 외 중매인, 경매사 등 20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띤 논의를 펼쳤다.

 

이날 참석자들은 도매시장 활성화 및 돈가안정을 위해서는 도매시장으로의 안정적인 물량 공급이 가장 중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했다. 먼저 간담회에 참석한 중매인들은 “도매시장은 품질이나 물량이 불안정하게 공급되기 때문에 공판장에서 제대로 된 가격이 나오지 않게 된다”고 전했다.

 

이어 “도매시장으로의 품질 좋은 규격돈, 균일한 돼지가 안정적으로 공급만 되게 된다면 거래처의 꾸준한 확보 또한 가능하게 되고, 도매시장이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하며, 돼지가격 안정에도 자연스레 도움이 될 것이다고 밝혔다.

 

이에 이기홍 부회장을 비롯한 농가들도 현재 한돈 도매시장이 돼지가격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만큼, 한돈산업의 균형 발전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고 공감했다.

그러면서 도매시장에 품질 좋은 돼지가 안정적으로 공급되어 가격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낮추는 동시에 시장이 안정화 될 수 있도록 한돈농가들이 먼저 역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이기홍 부회장은 “전국 도매시장의 1등급 이상 돼지 도체 출현율이 67.4%인데 비해 12개 도매시장은 59.8%로 7.6%p 낮게 형성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저품질 돼지의 출하 문제와 출하자와 중도매인간 수급의 불균형 문제로 가격 왜곡 현상이 생기고 있는 만큼 도매시장 활성화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참석자들은 "도매시장을 이용했을때의 도축비 등 각종 도매시장 이용에 따른 비용 부담이 최소화 되게 된다면, 농가들도 도매시장을 찾을 것이기 때문에 앞으로 이에 대한 방안도 함께 모색할 필요도 있다"고 전했다. 강성수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