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축평원, 축산물이력제 빅데이터 활용 설 성수기 한우 출하동향 분석

전년대비 1+등급 이상 출현율 증가, 한우가격 9.2% 증가, 거세 도축월령 1.4개월 단축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장승진)은 축산물이력정보를 활용하여 최근 5년간 설 명절의 한우 출하현황과 경락가격 등에 대한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금년 설 성수기(1개월) 한우 도축은 101천두로 평년 수준(최근 5년 평균 101천두)이었으며, 전년 설 대비 5.2% 증가하였다.

 

최근 5년간의 설 성수기 한우 출하동향을 분석한 결과, ’16년부터 ’19년 설까지 한우 출하물량은 감소 추세(’16년 설 107천두 →’19년 설 96천두, 11천두9.9% 감소)였으나, 금년 설 성수기는 ’19년 연말 수요와 이른 설 수요가 겹치며 도축 마리수가 전년대비 5.2%(5천두) 증가하였다.

금년 설 성수기의 한우 암소의 도축두수는 감소세가 주춤(’16년 설 50천두→’19년 설 42천두→’20년 설 44천두)하였고, 거세의 도축두수는 증가(’16년 설 53천두→’20년 설 56천두)하였다.

 

설 성수기 한우 도매시장 경락가격을 분석한 결과, 한우 전체 평균 경락가격은 전년 설 대비 9.1%(1,631원/㎏) 증가(’19년 설 17,661원/㎏→’20년 설 19,292원/㎏) 하였다.

설 성수기 경락가격을 성별로 분석한 결과, 한우 거세는 20,359원/㎏, 암소는 17,522원/㎏으로 평년(최근 5년 설 평균 거세 18,446원/㎏, 암소 16,436원/㎏)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최근 5년간 설 성수기의 한우 암소의 등급별 평균 도축월령은 ’15년 설 이후 1+등급 이하에서 꾸준히 증가(3등급 : 75→80개월, 2등급 : 51→56개월, 1등급 : 47→51개월, 1+등급 : 44→48개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우 암소의 등급별 출현율은 1+등급이상은 증가세(’15년 설 18.7%→’20년 설 29.0%), 1등급 이하는 감소세(’15년 설 81.1%→’20년 설 70.9%)를 보였다.

한우 암소의 도축형태를 조기도축그룹(36개월이하), 평균도축그룹(37~59개월), 장기사육그룹(60개월이상)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조기도축그룹에서 도축월령은 감소, 장기사육그룹에서는 도축월령이 증가했다.

 

최근 5년 설 성수기 한우 거세의 등급출현율을 분석한 결과, 한우 거세 중 1+등급 이상의 출현율은 ’15년 설 이후 증가세(’15년 설 53.2%→’20년 설 62.5%)를 보였다.

한편, 한우 거세의 도축월령은 단축(’15년 설 32.5개월→’20년 설 31.1개월, 1.4개월↓)되는 추세를 보였다.

 

설 성수기 이후 한우 거세(수컷 포함)의 출하대기 물량을 분석한 결과, 금년 추석 성수기에 출하가 예상되는 21∼22개월령 사육두수는 118천두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축평원 장승진 원장은 “소 이력정보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 결과 지난 5년간 한우 농가의 가축개량 및 사양관리 노력 등으로 1+등급이상 출현율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사육월령이 단축되는 긍정 효과를 볼 수 있었다”라며, “다만, 향후 한우의 사육마릿수 증가 등이 예상되는바 한우 사육농가의 선제적 계획 출하와 비용절감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