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스마트팜' 연구개발 속도 더 높인다!

25일부터 26일까지 농식품부‧농진청 공동 ‘스마트팜 연구개발 워크숍’ 갖는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개호)와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7월 25일(목) 대전 유성호텔에서 부․청 공동 ‘스마트 팜 연구개발(R&D) 워크숍’을 개최한다. 이번 워크숍은 관련 기관, 학계, 기업, 농업인 등 ‘스마트 팜’ 관련 전문가와 종사자 100명이 참석해 부․청이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 팜’ 연구개발 사업성과를 점검하고 민관협력 강화방안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주요 행사로는 △2019년 부‧청 공동 ‘스마트 팜’ 연구개발 추진 현황 및 2020년 계획 소개, △연구협력 강화를 위한 ‘스마트 팜 연구개발 협의체’ 구성과 운영 계획 설명이 있을 계획이다.

이어 2019년 농식품부와 농촌진흥청의 ‘스마트 팜’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성과 발표회가 개최되며, 4개의 분야로 나눠 과제별 주관 연구책임자의 발표와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된다.

이번 워크숍부터 농식품부와 농촌진흥청의 ‘스마트 팜’ 연구개발사업의 운영 효율화를 위해 기존의 ‘스마트 팜 연구개발 협의체’에 4개 분과를 추가 구성하여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을 통한 과제 및 성과 관리를 추진할 계획이다.

협의체는 농식품부․농촌진흥청의 연구개발 담당 국장이 공동 단장을 맡고, ‘기술고도화’, ‘시설원예 실증’, ‘축산 실증’, ‘사막형  스마트 팜’ 등 4개 분과에 자문위원단을 두어 대내외의 목소리를 연구에 반영하는 한편, ‘20년 부․청의 ’스마트 팜‘ 연구개발사업 신규과제 기획 등을 주관하게 된다.

 

이 행사에는 일반인도 참석이 가능하다.

아울러, 참석자들을 대상으로 내년도 농식품부와 농촌진흥청에서 기획과제로 추진할 기술수요도 함께 접수할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 관계자는 "이번 워크숍을 계기로 ‘스마트 팜’ 연구개발 전문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스마트 팜’ 기술 혁신과 산업 발전을 견인하기 위해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