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농촌진흥청, 전남 함평서 밭농업 기계화 시연회

농협중앙회와 공동 진행… 밭작물용 농기계도 전시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농협중앙회와 함께 최근 전남 함평군 나산면 들녘에서 밭농업 기계의 시연과 다양한 밭작업용 농기계를 선보였다.

또한 농촌진흥청에서 연구 개발한 ‘현장 맞춤형 밭농업 기계’와 ‘전과정 기계화 기술’, 논 타작물 재배 확대 기반을 갖추기 위해 물빠짐을 좋게 만드는 기술을 소개했다.

 

이번 행사는 농촌진흥청과 농협중앙회의 업무협약의 일환으로 열리게 됐으며, 논 이용 밭작물 재배 확대와 밭농업 기계화 기술의 현장 보급 확산을 촉진해 농가소득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마련됐다.

 

농작업 시연에는 마늘 파종기, 고구마 정식기, 전자동 감자 파종기, 콩 파종기 등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농기계 등 총 52종을 활용했다.

이날 선보인 밭농업 기계화 기술은 농협중앙회가 추진 중인 농작업 대행 사업에도 적용되어 농촌의 부족한 일손을 돕고 밭농업 기계화를 앞당기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농촌진흥청은 밭농업 기계화를 통한 노동력‧생산비 절감을 위해 현장 맞춤형 밭농업기계‧전 과정 기계화 기술 개발,  밭작물 기계화 적합품종과 재배양식 표준화, 밭작물의 논 재배 확산을 위한 배수개선 기술 개발, 밭작물 생산단지 확대‧선도 경영체 육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콩, 고구마, 조·기장·수수, 팥·녹두, 감자의 기계 재배기술 확대를 위한 기술 지침서를 제작해 각 지역 농촌진흥기관에 보급했으며, 올해는 콩(개정판), 율무·메밀·유채의 기계 재배기술을 정리해 책자로 발행할 계획이다. 

 

김경규 농촌진흥청장은 “수요에 부응하는 밭농업 기계 개발과 현장보급을 위해 농업현장의 의견 수렴과 평가를 실시하고, 2020년부터는 김장채소로 소비가 높은 배추‧참깨‧들깨‧고추 등 작물의 전 과정 기계화 기술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배추 수급불안 해소에 머리맞대?... “땡겨 먹고 있어 김장철까지 이어질 수도”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9월 9일(화) 평창 알펜시아리조트에서 기후변화 대응 고랭지채소 생산안정 대토론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토론회는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고랭지채소의 안정적 생산을 도모하기 위해 기관별 지원 정책과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대응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토론회에는 농식품부를 비롯한 관계 부처와 유관기관, 주요 생산자단체, 유통업체 등 농식품부, 농진청, 강원특별자치도청, 강원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및 시·군 농업기술센터, aT, 농협, 생산자단체, 유통·김치가공업체, 육종기업 등 관련 전문가 100여 명이 참석하였으며, 기후대응 기술과 정책·제도 지원이라는 두가지 주제로 나누어 관련 안건 발표와 토론을 진행하며 폭넓은 논의를 나누었다. 기후변화로 인해 고랭지채소 재배에 부적합한 농지가 증가하고, 이상기후와 계속된 연작으로 단위면적당 수확량(생산단수)이 급감하여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특히 고랭지채소 주산지인 강원특별자치도의 2024년 재배면적은 10년 전 대비 76% 수준으로 줄었다. 재배면적과 생산단수 감소로 인한 공급 불안정성은 생산자 소득감소, 유통의 예측가능성 저해, 소비자 후생 감소 등 생산·유통·소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