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어촌公 김인식 사장 “과학적 물관리로 물걱정 해소에 최선”

김인식 사장, 효율적인 농업용수 공급체계 마련해 물 부족 문제 해결
제주 ‘성읍다목적농촌용수개발사업’ 현장 방문

한국농어촌공사 김인식 사장은 최근 제주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다목적농촌용수개발사업 현장에 방문해 올해 급수 대책과 농업용수 통합물관리 현황을 점검하고 지역민과 대화의 시간을 가졌다.30일 기준 성읍저수지 저수율은 77%로 평년대비 127%를 나타내고 있다.

수년간 가뭄이 지속되면서 농업용수 부족이 심화됨에 따라 공사는 지난해 급수탑 6개소를 추가 설치했다.

 

올해는 시설감귤 생육기와 밭작물 파종기인 오는 10월까지 표선면 일대 400ha에 일일 최대 2만4천㎥의 농업용수를 집중 급수할 계획이다.제주지역은 관정단위의 소규모 용수공급체계로 가뭄 발생시 용수 배분의 한계와 대체용수 공급 등의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왔다.

이에 2017년 ‘제주 농업용수 통합광역화 사업’이 용수공급과 배분 문제의 근본적 해결방법으로 제시되며 농림축산식품부 신규 사업으로 확정됐다.

공사는 2018년 제주특별자치도로부터 위탁시행을 맡아 2024년 완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제주 농업용수 통합광역화 사업’은 대용량 저수조 54개소와 지하수관정 58공, 용천수 6개소의 수원공을 개발하고 관로 470km를 연결해 제주 11개 권역 32,755ha에 1일 최대 백만㎥의 용수를 공급하는 사업이다.

더불어 중앙통제실에서 농업용 수리시설 원격계측을 하고, 관정과 저수조 밸브 등의 현장제어와 가동이 가능한 스마트워터시스템이 구축된다.

 

김인식 사장은 “‘제주 농업용수 통합광역화 사업’이 시행되면 지역 특성과 여건에 맞는 취수공급방식을 통해 하루 평균 17만㎥의 농업용수를 신규 확보하게 된다”며 “연례적 가뭄에 맞서 효율적 농업용수 확보와 공급을 위해, 공사가 보유한 백여 년 물관리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과학적 물관리 체계 확충에 힘써 국민의 물 걱정을 덜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그동안 김사장은 전국 지역본부 다목적용수개발사업, 수질개선사업, 물길잇기사업 등의 현장을 방문하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 현장직원과 지역민의 목소리를 가감 없이 청취해오고 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검역본부, '동물줄기세포' 연구성과 활용과 협력 강화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김정희)는 국내 인체 및 동물줄기세포 민·관·학 전문가가 참여하는 ‘동물줄기세포 연구개발 심포지엄’을 최근 경북 김천 소재 검역본부에서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줄기세포 및 오가노이드(organoid)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동물용의약품 개발과 난치성 질환 치료를 위한 연구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오가노이드(organoid)는 줄기세포나 특정 조직 세포를 배양하여 실제 장기와 유사한 기능을 재현하는 3차원 세포 집합체이다. 심포지엄에는 국내 줄기세포 및 오가노이드 분야를 선도하는 전문가 5명이 연자로 참여하여 최신 연구 성과와 향후 발전 방향을 발표하였다. 먼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주경민 교수는 연구·개발 중인 줄기세포치료제 및 세포유전자치료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모달리티를 활용한 줄기세포 효능 강화기술, 조직 특이적 줄기세포의 정밀 분리·배양·제조기술 등 두 가지 핵심 플랫폼을 소개하며, 이를 기반으로 개발된 ‘히스템’, ‘씨스템’ 등 치료제 개발 현황을 발표하였다. 자체 줄기세포 생산시스템을 보유한 충현동물병원 강종일 원장은 개 태반 유래 중간엽줄기세포를 활용한 임상 적용 사례를 발표하였다. 만성신부전, 간질,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