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논 콩’ 재배 기계화 효율성 높아

농촌진흥청, 논 이용 콩 생산 전 과정 기계화 현장평가회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논에서 다른 작물 재배를 늘려 밭농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콩 파종부터 수확까지 모든 과정을 기계화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번에 선보이는 기계는 트랙터용 파종기, 예취수확기(보행형, 승용형), 수집형 두류 수확기 등 4기종입니다.

 

트랙터용 파종기는 두둑 성형과 동시에 씨뿌림이 가능하며, 작물에 따라 20cm~150cm까지 폭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콩, 팥, 조, 수수 등 큰 종자부터 작은 종자까지 사용 가능하며, 파종롤러를 교환할 수 있어 종자 크기와 양에 따라 주간 5~50cm까지 파종할 수 있습니다.

보행형 예취수확기는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도 작아 소규모 재배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한 줄씩 베어 모아주기 때문에 탈곡할 때 편리합니다. 베는 높이는 작물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작물 높이가 35cm 이상이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승용형 예취수확기는 승용차와 같은 방식으로 운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자식으로 작동해 베는 높이와 폭, 주행 폭 조절도 가능합니다. 한 번에 두 줄씩 벨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10a를 벨 경우 보행형은 0.8시간, 승용형은 0.4시간이 걸려 손으로 작업할 때(8.9시간)보다 각각 11배, 22배 능률적입니다. 비용도 각각 67%, 75% 줄일 수 있었습니다.

수집형 두류콤바인은 일반 콤바인으로 거두기 어려운 콩, 팥, 녹두 등을 수확할 때 편리합니다. 10a를 수확하는 데 약 0.3시간이 걸려 탈곡기(5.3시간)의 1/18로 시간이 단축됐으며, 비용도 64% 절감할 수 있습니다. 손실률도 2% 내로 양호한 편입니다.

 

농촌진흥청은 이번에 개발한 논 이용 콩 생산 전 과정 기계화 기술에 대한 현장평가회를 7일 경북 경주에서 엽니다.

평가회에서는 논에서 효과적으로 콩을 생산하기 위한 재배기술과 생산비 절감을 위한 기계화 작업 체계를 설명할 예정입니다.

현장 시연 후에는 종합토론을 통해 콩 재배 전문가, 작목반, 농가 등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기술적 보완을 거쳐 농업 현장에 보급할 계획입니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밭농업기계화연구팀 최용 팀장은 “논 이용 콩 생산 전 과정 기계화 기술이 농촌의 일손 부족을 해결하고 생산비 부담을 덜어 농가 소득 향상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습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축협 조합장 불법선거’ 강력 대응
농협중앙회(회장 강호동)는 2027년 3월 3일에 실시 예정인 제4회 전국 동시조합장선거를 앞두고, 불법ㆍ부정선거 근절을 위한 선제 조치로‘선거관리 사무국’을 조기에 신설하는 등 공명선거 구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는 동시조합장선거가 전국 단위 선거로서 국민적 관심이 집중되고, 정부의 지도ㆍ감독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농축협 전체의 신뢰도 제고와 공정한 선거문화 정착을 위한 선제적 조치다. 선거관리 전담기구는 조합장선거일 기준 1년 2개월 전인 2026년 1월 1일부터 가동할 예정이며, 중앙본부 회원지원부 내‘선거관리사무국’을 신설하고 기존의 선거관리 인력 3명을 9명으로 확충하여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의 협력체계와 선거업무 집중을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각 지역본부와 시군지부에도‘선거관리사무국’산하 조직을 편성해 선거관리 전담 조직간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효율적인 선거관리와 부정선거 예방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또한, ‘선거관리사무국’내에는 부정선거 상담ㆍ신고센터를 운영해 ▲ 부정선거 예방지도 ▲ 법률상담 ▲신고접수 ▲ 신속한 내부조사를 통한 고발조치 등 선거 전체를 포괄하는 업무를 수행하여 불법 행위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