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촌 초등학교 사라져...학교없는 농어촌지역 전국 23곳

김정재 의원, 단 한개의 학교도 없는 농어촌지역 읍면지역 전국에 23곳으로 늘어나
초등학교 1개만 있는 농어촌지역은 전국에 192곳!
농어촌 지역 젊은 농업인 유입 위해서는 교육환경 개선 되어야!

김정재 의원(자유한국당, 포항 북구)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초․중․고등학교를 비롯하여 특수학교 등 모든 종류의 학교 중 단 한 개의 학교도 없는 농어촌 지역(읍, 면)이 전국에 총 23곳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초등학교 단 1개만 있는 농어촌지역은 전국에 총 192곳이며, 중․고등학교는 있으나 초등학교가 없는 농어촌지역은 전국에 5곳이다.

 

지난 7월 농림축산식품부는 업무보고서에서 40세 미만 젊은 농가는 0.9%에 불과하고 현 추세 유지 시 2025년에는 40세 미만 농가는 0.4%에 불과할 것이라 강조하며, 교육환경 개선을 위해 “1읍․면 1초․중학교‘ 설치 및 유지전략을 마련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하지만 현재기준으로 전국의 농어촌 지역 중 총 220곳이 학교가 전혀 없거나 초등학교 밖에 없는 등 교육환경이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이에, 김정재의원은 “농어촌 지역의 열악한 교육환경은 40대 미만의 젊은 농가유입을 막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라며 “농식품부와 교육부는 최소한 초등학교는 모든 농어촌 지역에 설치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불가피한 지역은 통학버스를 지원하는 등 교육환경 개선에 더욱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축협 조합장 불법선거’ 강력 대응
농협중앙회(회장 강호동)는 2027년 3월 3일에 실시 예정인 제4회 전국 동시조합장선거를 앞두고, 불법ㆍ부정선거 근절을 위한 선제 조치로‘선거관리 사무국’을 조기에 신설하는 등 공명선거 구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는 동시조합장선거가 전국 단위 선거로서 국민적 관심이 집중되고, 정부의 지도ㆍ감독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농축협 전체의 신뢰도 제고와 공정한 선거문화 정착을 위한 선제적 조치다. 선거관리 전담기구는 조합장선거일 기준 1년 2개월 전인 2026년 1월 1일부터 가동할 예정이며, 중앙본부 회원지원부 내‘선거관리사무국’을 신설하고 기존의 선거관리 인력 3명을 9명으로 확충하여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의 협력체계와 선거업무 집중을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각 지역본부와 시군지부에도‘선거관리사무국’산하 조직을 편성해 선거관리 전담 조직간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효율적인 선거관리와 부정선거 예방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또한, ‘선거관리사무국’내에는 부정선거 상담ㆍ신고센터를 운영해 ▲ 부정선거 예방지도 ▲ 법률상담 ▲신고접수 ▲ 신속한 내부조사를 통한 고발조치 등 선거 전체를 포괄하는 업무를 수행하여 불법 행위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