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촌 초등학교 사라져...학교없는 농어촌지역 전국 23곳

김정재 의원, 단 한개의 학교도 없는 농어촌지역 읍면지역 전국에 23곳으로 늘어나
초등학교 1개만 있는 농어촌지역은 전국에 192곳!
농어촌 지역 젊은 농업인 유입 위해서는 교육환경 개선 되어야!

김정재 의원(자유한국당, 포항 북구)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초․중․고등학교를 비롯하여 특수학교 등 모든 종류의 학교 중 단 한 개의 학교도 없는 농어촌 지역(읍, 면)이 전국에 총 23곳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초등학교 단 1개만 있는 농어촌지역은 전국에 총 192곳이며, 중․고등학교는 있으나 초등학교가 없는 농어촌지역은 전국에 5곳이다.

 

지난 7월 농림축산식품부는 업무보고서에서 40세 미만 젊은 농가는 0.9%에 불과하고 현 추세 유지 시 2025년에는 40세 미만 농가는 0.4%에 불과할 것이라 강조하며, 교육환경 개선을 위해 “1읍․면 1초․중학교‘ 설치 및 유지전략을 마련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하지만 현재기준으로 전국의 농어촌 지역 중 총 220곳이 학교가 전혀 없거나 초등학교 밖에 없는 등 교육환경이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이에, 김정재의원은 “농어촌 지역의 열악한 교육환경은 40대 미만의 젊은 농가유입을 막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라며 “농식품부와 교육부는 최소한 초등학교는 모든 농어촌 지역에 설치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불가피한 지역은 통학버스를 지원하는 등 교육환경 개선에 더욱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농어촌희망재단 ‘가락상생기금’...산불 피해지역 영농복구에 앞장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회장 이원석)와 회원사 및 농협가락공판장은 지난 3월 안동 등 영남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영농 복구와 회생을 위해 주도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피해 복구 지원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 가락시장지회가 10억 원을, 협회 회원사 등이 4억 700만원을 출연하여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을 통해 추진한 공익사업이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도매법인과 2023년 12월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도매시장 내 민간 법인의 사회적 책임 확대 및 농어촌 지원을 위한 협약체계를 구축한바 있다. 기부금은 경북(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경남(산청, 하동), 울산(울주) 등 8개 시․군의 피해 농업인 약 8,000여명에게 총 10억 3천만원 규모의 영농자재 교환권 1만여 매와 농기계 46대 등으로 전달되었다. 이번 지원은 ‘가락상생기금’을 활용한 첫 대규모 재해복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