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대한민국 과일페스티벌… 소비자와 생산자가 하나되는 자리!

과수농협연합회, 과일페스티벌 ‘나만의 사진&이야기’ 각종 이벤트 10월 10일까지 공모
과일페스티발 11월 16일부터 18일까지 킨텍스에서 과일요리대회와 토크콘서트 사전 접수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고 한국과수농협연합회가 주관하는 ‘2018대한민국 과일산업대전(이하 2018 과일페스티벌)’이 오는 1116() ~ 18(), 3일간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 10A홀에서 펼쳐진다.‘2018 과일페스티벌은 소중한 자산인 우리 과일의 소중함과 중요성을 함께 느끼고 발전시키기 위해 올해로 8회째를 맞이하여 진행되는 대한민국 과일산업의 대표 행사다. 올해 과일페스티벌은 과수산업을 우리가 지켜나가야 할보물과 같은 가치로 함께 여기자는 콘셉트로 진행되며, 생산자는 물론 소비자가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과 각종 이벤트, 전시 등이 준비될 예정이다.

 

920()부터 1010()까지 총 21일간 진행되는 ‘2018 과일페스티벌 슬로건 공모전은 행사에 사용될 메인 슬로건을 공모하는 대회이다. 우리 과일을 사랑하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가 가능하며, 신청서를 함께 작성하여 이메일로 제출하면 된다. 당선작은 시상규모에 따라 상장 및 농산물 상품권이 수여될 예정이다. 메인 슬로건으로 선정된 문구는 행사 전면에 활용되어 출품자 본인의 슬로건이 행사에 주요하게 쓰이는 영광을 얻게 된다.

920()부터 1021()까지 진행되는‘2018 과일페스티벌 사진·이야기(에세이) 공모전은 국산 과일과 함께한 다양한 스토리를 마음껏 뽐낼 수 있는 공모전이며, 수상작으로 선발된 사진과 이야기는 행사장 내에서 관람객들이 쉬어가는 휴게존에 전시되어 과일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관심과 공감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사진의 경우 13작품까지 응모 가능하며, 이야기(에세이)A4용지 3매 이내로 자유롭게 기술하면 된다.

또한, 우리 과일의 우수성과 건강에 유용한 과일섭취법에 대해 이야기 한 저자의 강연을 직접 들을 수 있는 토크콘서트도 2018 과일페스티벌에서 만날 수 있다.‘완전소화라는 책을 집필한 류은경 저자의 과일 토크콘서트는 1118() 킨텍스 행사장에서 개최되며,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참가접수를 한 200명에게는 저자의 책과 함께 무료로 강연을 들을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 1029()부터 1111()까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참가접수가 진행될 예정이다.

 

과일을 활용한 요리에 자신이 있는 사람이라면 눈여겨 볼 만한 ‘2018우리 국산과일 요리경연대회(이하 과일요리 경연대회)’도 개최된다. 온라인으로 과일 요리 레시피 예선 서류심사를 거쳐 본선에 참가할 10팀을 먼저 선발한다. 조리법이나 메뉴 제한이 없어 한식, 양식 등 다양한 레시피 공모가 가능하다. 중요한 것은 국산과일 7대 과종(사과, , 단감, 감귤, 포도, 복숭아, 참다래)를 이용한 요리여야 한다는 점이다

서류심사에서 선발되었다면 1118() ‘2018 과일페스티벌행사장에서 최종 경연을 펼치게 된다. 전문 심사위원의 평가로 수상자를 결정하며, 시상규모에 따라 최고 총 100만원의 상금이 수여되며, 대상으로 선정된 레시피에는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상이 수여된다.

한국과수농협연합회 관계자는 이번 2018 과일페스티벌은 우리 과수산업에 종사하는 생산자들과 국산과일을 사랑해 주시는 소비자들이 모두 즐길 수 있는 축제가 될 것이다. 다양한 공모전과 프로그램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우자조금 “소 한 마리가 지구를 살린다”
기후위기와 식량 불균형이 전 세계적 과제로 떠오른 지금, 한우산업은 생산의 영역을 넘어 지구 생태의 균형을 지키는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는 한우 명예홍보대사 이명규 상지대학교 스마트팜생명과학과 교수와 함께, 한우를 농업·환경·사회와 연결하는 ‘순환의 축’으로 조명하며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 한우 인식의 전환,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 만들어 한우는 오랜 세월 우리 민족의 삶과 함께해왔다. 농경사회에서는 노동을 돕고, 생의 마지막에는 고기와 가죽, 비료로 인간에게 돌아왔다. 이 순환의 역사 속에서 한우는 사람과 사회, 환경을 잇는 생명 순환 체계의 일부였다.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시작은 ‘관점의 변화’에 있다. 한우를 생산 효율이나 가격 중심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 사회가 맞물린 순환 구조의 핵심으로 인식해야한다. 관점이 바뀌면 행동이 달라지고, 행동이 달라지면 산업의 가치와 방향이 달라진다. 결국 한우를 어떻게 이해하느냐가 한우산업의 지속가능성을 결정짓는 출발점이다. ◆ 자원의 순환, 한우분뇨는 토양을 살리는 생태 자원 관점의 변화는 실천으로 이어진다. 그 첫걸음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한우자조금 “소 한 마리가 지구를 살린다”
기후위기와 식량 불균형이 전 세계적 과제로 떠오른 지금, 한우산업은 생산의 영역을 넘어 지구 생태의 균형을 지키는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는 한우 명예홍보대사 이명규 상지대학교 스마트팜생명과학과 교수와 함께, 한우를 농업·환경·사회와 연결하는 ‘순환의 축’으로 조명하며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 한우 인식의 전환,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 만들어 한우는 오랜 세월 우리 민족의 삶과 함께해왔다. 농경사회에서는 노동을 돕고, 생의 마지막에는 고기와 가죽, 비료로 인간에게 돌아왔다. 이 순환의 역사 속에서 한우는 사람과 사회, 환경을 잇는 생명 순환 체계의 일부였다.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시작은 ‘관점의 변화’에 있다. 한우를 생산 효율이나 가격 중심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 사회가 맞물린 순환 구조의 핵심으로 인식해야한다. 관점이 바뀌면 행동이 달라지고, 행동이 달라지면 산업의 가치와 방향이 달라진다. 결국 한우를 어떻게 이해하느냐가 한우산업의 지속가능성을 결정짓는 출발점이다. ◆ 자원의 순환, 한우분뇨는 토양을 살리는 생태 자원 관점의 변화는 실천으로 이어진다. 그 첫걸음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