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농협사료,  2021 친환경축산대상에 잇따라 뽑혀 눈길

- 친환경사료공장 이용 유기농가들 친환경축산대상에 대거 수상

 

농협사료(대표이사 정상태) 친환경사료공장을 이용하는 유기축산 농가들이 최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친환경축산대상에서 대거 입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농림축산식품부와 친환경축산협회에서 주관하는 이번 대회는 친환경축산에 대한 실천의욕을 고취하고 지속가능한 축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인증농가부문, 축산물유통부문, 축산자재부문에 대하여 총 11곳의 농가 및 업체들이 선정되었다.

이중 농협사료 친환경사료공장을 이용하는 농가로 대상 농림축산식품 장관상에 건준목장(대표 황호진, 낙농)과 약초골농원(대표 강구영, 산란계)이 수상하였으며, 최우수상 친환경협회장상에는 농업회사법인 다란팜(대표 송홍주, 산란계)이 수상하였다.
 
특히, 건준목장과 다란팜은 농협사료를 전이용하는 농가로 친환경사료공장 유기축산 전문 컨설턴트를 통해 사양관리, 인증컨설팅 등 드림서비스를 제공받는 농가이다.
 
한편, 농협사료 친환경사료공장 유지섭 장장은 “이번 2021 친환경축산대상에 입상한 유기축산 농가분들에게 축하의 말씀을 드린다”며, “작년도 농협사료 친환경사료공장이 축산자재부문 대상을 수상한데 이어 우리사료를 이용하는 농가분들이 좋은 성적을 거둔 것에 대해 매우 영광스럽게 생각하며, 농협사료도 지속가능한 축산업을 위해 국내 유기축산 시장 활성화에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금원, '농업재해보험' 성과보고 토론회 12월 5일 개최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은 오는 12.5.(금),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2025년 농업재해보험 성과보고 및 발전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농작물재해보험 도입 25주년을 맞아 제도의 성과를 돌아보고, 급격히 변화하는 기후 환경 속에서 농업재해보험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부에서는 농금원 이병식 정책보험본부장이 ‘농업재해보험 사업성과와 향후 추진계획’ 발표, 고려대학교 유지상 교수의 ‘농가경영 위험관리 강화를 위한 재해지원체계 구축’, 스위스리재보험(Swiss Re) 배종국 상무의 ‘재보험시장에서 본 국내 농업재해보험 평가와 발전과제’ 등 발표가 진행될 예정이다. 2부에서는 국립농업과학원 홍석영 센터장이 ‘농림위성을 활용한 농업재해보험 사업관리 고도화 방안’에 대한 발표에 이어 ‘기후리스크 대응을 위한 농업재해보험의 과제’를 주제로 농식품부, 보험사, 학계, 연구기관 등이 참여하는 패널토론이 진행된다. 이번 토론에서는 심화되는 기후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농업재해보험의 발전 과제에 대해 폭넓게 논의할 예정이다. 서해동 원장은 “지난 25년간 농업재해보험은 농가의 자연재해 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성장해 왔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금원, '농업재해보험' 성과보고 토론회 12월 5일 개최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은 오는 12.5.(금),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2025년 농업재해보험 성과보고 및 발전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농작물재해보험 도입 25주년을 맞아 제도의 성과를 돌아보고, 급격히 변화하는 기후 환경 속에서 농업재해보험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부에서는 농금원 이병식 정책보험본부장이 ‘농업재해보험 사업성과와 향후 추진계획’ 발표, 고려대학교 유지상 교수의 ‘농가경영 위험관리 강화를 위한 재해지원체계 구축’, 스위스리재보험(Swiss Re) 배종국 상무의 ‘재보험시장에서 본 국내 농업재해보험 평가와 발전과제’ 등 발표가 진행될 예정이다. 2부에서는 국립농업과학원 홍석영 센터장이 ‘농림위성을 활용한 농업재해보험 사업관리 고도화 방안’에 대한 발표에 이어 ‘기후리스크 대응을 위한 농업재해보험의 과제’를 주제로 농식품부, 보험사, 학계, 연구기관 등이 참여하는 패널토론이 진행된다. 이번 토론에서는 심화되는 기후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농업재해보험의 발전 과제에 대해 폭넓게 논의할 예정이다. 서해동 원장은 “지난 25년간 농업재해보험은 농가의 자연재해 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성장해 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