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문재인정부' 농식품예산 16조원...‘농촌돈줄’ 또 쥐어 짜내야

전체 초슈퍼예산 8.5%↑555조원 중…농식품예산 16조원 2.3% 소폭증액안 9월 3일국회제출, 12월 2일까지 최종 확정

 

내년 정부예산이 555조 8천억원으로 올해보다 8.5% 늘린 초슈퍼 예산이 편성됐다.

여기에 농업·농촌 살림살이인 농림축산식품부 내년 예산·기금안 총지출 규모는 16조 1,324억원으로 올해 15조 7,743억원 대비 2.3% 증가된 3,581억원 소폭 증가에 그쳤다.

 

농식품부 주요 예산편성은 일자리 지원 12.1%↑, 식량안보 강화 426.5%↑밀, 농축산물 온라인 거래 32억원, 사회적 경제 활성화 47.5%↑등 주요 정책과제에 필요한 재원을 반영시켜 놨다.

특히, 코로나19·기후변화 등 구조적 변화에 대응하면서, 사람·환경 중심의 농정 성과가 가시화될 수 있도록 재정적 뒷받침을 해놨다.

 

 

각 부문별로 보면 농산업 디지털화에 비대면·디지털 경제시대에 맞춰 농업 생산·유통 전반의 스마트·디지털화 촉진 및 관련 창업 활성화에 지원되고, 기후 변화 대비에서도 농업 생산 기반의 재해 예방 역량을 강화하고, 재해 농가에 대한 안전망이 확충된다.

 

공익적 기능도 확대된다. 공익직불제 안착 및 농업·농촌의 사회적 경제 확산을 지원하고, 취약계층 먹거리 기본권 강화와 살고 싶은 농촌공간을 위한 농촌마을 경관을 유지・보전하고, 농촌생활 여건을 개선하여 저밀도 사회전환에 대비한다.

 

 

농가 소득·경영 안정을 위해서는 농축산물 수급불안 완화 및 금융 지원을 강화하고 특색・신규사업에도 환경변화에 따른 정책수요를 반영하여 신규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한다는 게 정부의 방향이다.▶관련기사 7면에 이어서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정책자금 취급·사후관리 강화 현장교육 가져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은 11월 21일(금) 경북 지역 농협 정책자금 취급 담당자를 대상으로 NH농협은행과 함께 ‘제1차 농업정책자금 대출취급·사후관리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정책자금 집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급·관리상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 대출기관 담당자의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되었다. 농금원은 최근 정책자금 관리·감독 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책자금 관리 대외협력 TF’를 구성하여 농협·수협 등 정책자금 취급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TF는 정책자금 대출 취급·사후관리 절차 강화를 위한 교육·캠페인 추진, 지원·관리 데이터 구축 등을 통해 정책자금의 건전한 운영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농금원은 이번 교육을 시작으로 권역별 정책자금 현장교육을 지속 확대하고, 집합교육뿐 아니라 농업교육포털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도 단계적으로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한 TF 운영을 통해 축적되는 정책자금 지원·관리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 및 정책 방향 설정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서해동 원장은 “정책자금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농업인이 체감하는 정책 효과도 커진다”며, “앞으로도 현장 중심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정책자금 취급·사후관리 강화 현장교육 가져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은 11월 21일(금) 경북 지역 농협 정책자금 취급 담당자를 대상으로 NH농협은행과 함께 ‘제1차 농업정책자금 대출취급·사후관리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정책자금 집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급·관리상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 대출기관 담당자의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되었다. 농금원은 최근 정책자금 관리·감독 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책자금 관리 대외협력 TF’를 구성하여 농협·수협 등 정책자금 취급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TF는 정책자금 대출 취급·사후관리 절차 강화를 위한 교육·캠페인 추진, 지원·관리 데이터 구축 등을 통해 정책자금의 건전한 운영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농금원은 이번 교육을 시작으로 권역별 정책자금 현장교육을 지속 확대하고, 집합교육뿐 아니라 농업교육포털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도 단계적으로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한 TF 운영을 통해 축적되는 정책자금 지원·관리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 및 정책 방향 설정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서해동 원장은 “정책자금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농업인이 체감하는 정책 효과도 커진다”며, “앞으로도 현장 중심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