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조류 감염병' 신속 진단키트 개발

농기평 "하나의 진단키트로 3가지 감염병 여부를 30분 안에 확인 가능"

 

양계에서 발생하는 주요 호흡기 질병은 조류인플루엔자와 뉴캐슬병, 감염성 기관지염 등이 있으며, 이 중 조류인플루엔자의 경우 2003년 국내에서 최초 발생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최근 피해액이 총 7,895억 원(‘14~’18년)으로 가금 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기존 감염 판정에 사용되는 종란접종법, 유전자검사법의 경우 판정이 내려질 때까지 최소 3일이 소요되며, 가장 빨리 진단을 내릴 수 있는 신속 키트의 경우, 한 가지 질병에 대한 감염 여부만을 확인할 수 있어 검체를 여러 번 시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와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은 ‘가축질병대응기술개발사업’을 통해 2016년부터 지난 3년간 ‘현장 조류인플루엔자 Subtype 감별용 Rapid Kit 및 유전자칩 개발 및 산업화’을 지원한 결과,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현장에서 즉시 감별하는 다중진단 Kit 개발에 성공하였다.

 

이번 연구를 주관한 ㈜바이오노트 연구팀은 “기존의 바이러스 항원별 개별 진단제품을 하나의 제품으로 통합하여 한 번의 검체 사용으로 30분 내에 다양한 조류 호흡기 감염병 바이러스 항원을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다중진단 신속키트를 2종 개발하였다”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기존에는 바이러스 별로 검체를 각각 단일 Kit에 적용하여 검출여부를 확인하였으나 개발된 제품은 조류의 분변을 Kit에 한번만 적용시키면 3가지 감염병(조류인플루엔자, 뉴캐슬병, 감염성 기관지염) 또는 조류인플루엔자의 아형(H5, H7) 검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많은 시간과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개발된 Kit의 민감도를 확인한 결과,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최소 바이러스 양(검출한계)이 기존 단일 제품 대비 최대 10배 가량 향상되었으며 검출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Kit의 특이도는 100%로 확인되었다.

 

연구팀은 “개발된 Kit는 현재 농림축산검역본부의 동물용 체외진단기기 허가등록이 완료(19.9.)되었으며, 세 가지 진단 항목을 하나의 키트에 구현함으로써 각 질환에 대한 개별 키트 대비 생산비 약 50%를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라고 말했다.

 

농기평 오병석 원장은 “금번 개발된 제품을 통해 조류 감염병 검사기간이 단축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개선되어 양계 농장에서 병원체를 규명하여 신속한 방역 대책을 수립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박수진 기획조정실장, 양파 주산지에서 ‘농업수입안정보험’ 중요성 강조
박수진 농림축산식품부 기획조정실장은 10월 16일 양파 주산지인 무안을 방문하여 농업수입안정보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농업수입안정보험은 자연재해, 화재 등으로 인한 수확량 감소와 시장가격 하락 등으로 인해 보험 가입연도 수입(收入)이 과거 평균 수입(收入)의 일정 수준 미만으로 감소하는 경우, 감소분 전액을 보상하는 제도이다. 2015년 도입하여 시범 운영해 오다 2025년부터 전국 대상으로 본격 운영에 착수하였다. 총 15개 품목에 대해 운영하며, 콩, 마늘, 양파, 보리 등 9개 품목은 전국 대상으로, 벼, 봄감자, 가을배추 등 6개 품목은 일부 주산지 중심으로 시범 운영 중이다. 15개 품목 18개 상품 중 현재까지 12개 상품이 판매 완료되었으며, 10~11월 중 양파, 마늘, 보리 등을 포함한 6개 상품이 판매될 예정이다. 박수진 기획조정실장은 현장에서 양파 생산자단체 등을 만나 “양파, 마늘 등 가격 변동성이 큰 품목의 경우 농업수입안정보험이 매우 효과적인 경영안정장치가 될 수 있으며, 11월까지 양파, 마늘 등 6개 품목의 가입기간이 진행되므로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보다 많은 농업인이 제도를 이용할 수 있게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