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크고 희귀한 ‘박과 채소’ 다 모여라

농촌진흥청, 제17회 박과채소 챔피언 선발대회… 10월 1일~4일 신청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고 무거운 박과채소를 선발하는 ‘제17회 박과채소 챔피언 선발대회’ 참가 신청 서류를 10월 1일부터 4일까지 받는다.  

 

품종 고유의 특성을 가진 큰 박과채소와 희귀한 모양과 특성을 갖는 박과채소를 선발한다. 호박, 박, 수박, 수세미, 동아 등 박과채소는 모두 출품할 수 있다.  

출품작은 서류 제출 후 10월 7일과 8일 이틀 간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종자산업진흥센터(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씨앗길 232)’로 출품하면 된다. 수상작은 외형과 특성에 따라 심사위원단의 공정한 심사를 거쳐 10점을 선발한다. 총 상금은 800만 원이며, 대상은 농촌진흥청장상과 상금 300만 원을 받게 된다.  

 

입상작과 출품작은 10월 16일부터 18일까지 열리는 ‘박과채소 전시회’에 소개된다. 올해 전시회는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종자산업진흥센터에서 열리는 ‘2019 국제종자박람회’와 함께 진행한다.  

선발대회와 전시회는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과 한국박과채소연구회가 공동 주최하며,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종자산업진흥센터와 김제시가 후원한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허윤찬 채소과장은 “각양각색의 다양한 박과채소를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는 기회이며, 박과채소의 우수성에 많은 도시민들이 관심을 갖게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강성수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