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팜스테이마을' 20주년 전국대회

농협중앙회, 지속가능한 농촌관광을 위한 농협 팜스테이마을 재도약

농협중앙회(회장 김병원)는 팜스테이마을 출범 20주년을 맞이하여 농촌사회 내 팜스테이마을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지속가능한 농촌관광을 위하여, 3일 서대문 농협중앙회 본관에서 전국 팜스테이마을 대표 및 사무국장과 함께 팜스테이마을 20주년 기념 전국대회 행사를 가졌다.

 

팜스테이(Farm Stay)는 농협이 주관하는 농촌체험 브랜드로, 농가에서 머무르면서 농사, 생활, 문화체험과 주변관광지 관광 및 마을축제 등에 참여할 수 있는 농촌·문화·관광이 결합된 농촌 체험여행을 의미한다.

 

팜스테이마을은, 주5일제에 따른 여가수요가 증가하고 가족단위 체험관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도시민들의 농업ㆍ농촌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이에 따른 농업인들의 농외소득을 증대시키기 위해 1999년부터 32개 마을의 참여로 시작하였으며, 현재 295개 마을이 참여하며 농촌관광 활성화에 앞장서고 있다.

농협중앙회 김병원 회장은 “팜스테이마을의 확산과 발전을 위해 지난 20년간 묵묵히 노력해 주신 마을대표와과 사무국장께 감사드린다” 며 “팜스테이마을이 양적 성장을 넘어 질적 성장을 선도해 나가고 지속가능한 농촌관광 사업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농협도 환경조성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 이라고 밝혔다.

 

한국팜스테이중앙회 최광식 회장은 “출범 20주년을 맞이하여 팜스테이마을도 경쟁력을 강화하고 자립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특화된 체험프로그램 개발 및 서비스 개선 등을 통해 도시민들이 찾고 싶은 농촌마을을 만들겠다”며 팜스테이마을의 재도약을 위한 포부를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20주년 기념 홍보영상 시청, 팜스테이마을 사업 활성화에 기여한 우수마을 표창 시상, 우수마을 사례발표, 팜스테이 활성화 방안 협의 등이 있었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기협, 제66회 전국농업기술자대회 11월 19일 개최
(사)전국농업기술자협회(회장 이영휘)는 11월 19일(수) 11시부터 한국마사회 렛츠런파크 럭키빌 6층 컨벤션홀에서 ‘제66회 전국농업기술자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대회는 ‘K-농업기술로 우리 농업과 농촌의 미래를 열자’란 주제로 열려, 전국의 선도농가와 정부 및 단체 관계자 등 2,000여 명이 참석해 우리 농업·농촌의 미래를 열어갈 길을 모색한다. 이번 행사를 개최하는 농기협 이영휘 회장은 초심으로 돌아가 K-농업기술을 통해 어려움에 처한 우리 농업과 농촌의 활로를 모색하는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대회에는 농식품부를 비롯해 유관 기관장과 주요 농민단체들이 관심을 갖고 참석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번 대회는 66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농업기술상을 수상과 제30회 농업인의 날을 맞아 수상한 산업포장과 대통령 표창, 국무총리 표창 전수식도 있다. 또한 선도농가로 농촌현장에서 우리 농업·농촌 발전을 위해 애쓰고 있는 회원들을 발굴해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상, 농촌진흥청장상, 산림청장상, 한국농어촌공사사장상,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상, 농업협동조합중앙회장장, 농기협 회장상을 수여하고, 협회 발전에 기여한 회원과 공무원에게 공로패를 전달한다. 우리 농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대아청과, 제주 월동채소 경쟁력 강화 현장 간담회 개최
서울 가락시장 대아청과(주) (대표이사 이상용)는 11월 3일과 5일 제주 월동채소 생산자들을 대상으로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가락시장 대아청과 경매 현장에서 열린 이번 간담회에서는 본격적인 출하 시기를 앞둔 제주 월동채소의 작황과 현장의 어려움을 청취하고, 최근 품목별 거래 동향, 농산물 소비 트렌드, 선별 방법 등을 공유하며 제주 농산물의 판매 활성화를 위해 머리를 맞댔다. 간담회에는 제주 한림읍 양배추 생산자협의회 25명과 성산읍 무 생산자협의회 4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채소2동 경매 현장을 둘러본 뒤, 우수품 기준과 월동채소 출하시기 등 농산물 유통 전반에 대한 정보를 공유했다. 이상용 대표는 “제주 농산물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청정 제주의 이미지를 농산물에 접목한 상품화 과정을 통해 우수한 제주 농산물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것과 소비자가 원하는 시기에 필요한 양의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대아청과는 산지에서 필요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며, 제주 농산물의 판매 활성화와 경쟁력 제고에 적극 협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아청과는 지난 7월 제주 농업현장을 방문해 비료, 농약, 포장재 등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