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마이크로바이옴' 미래농업 핵심 열쇠(?)

농촌진흥청, 마이크로바이옴의 미래대응 전략 수립해 미래 농업 비젼 제시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24일 남원 스위트호텔에서마이크로바이옴의 미래대응 전략 수립이라는 주제로 ‘마이크로바이옴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심포지엄은 최근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마이크로바이옴 분야에서의 미래 대응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분야별 초청강연과 토론으로 진행됐다.  

기조강연자로 나선 서울대 천종식 교수는 ‘마이크로바이옴의 연구 및 산업적 동향’이라는 주제로 심포지엄의 문을 열었다.

농식품 분야의 경우 ‘농식품 분야에서의 마이크로바이옴 투자와 연구개발 현황’에 대해 미생물 유전체전략 연구사업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김지현 교수가 발표했다.

환경 분야의 마이크로바이옴의 역할에 대해 ‘마이크로바이옴과 생태계 기능’을 주제로 고려대학교 박우준 교수의 발표와 함께 충북대 한남수 교수가 ‘식품이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소개했다.

축산 분야의 경우 ‘축산분야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동향 및 방향’에 대해부산대학교 김명후 교수가 발표했다.

분야별 토론에서는 미생물, 식품, 축산, 정보구축의 4개 분과로 나누어 전문가가 참여하는 토론을 통해 분야별 마이크로바이옴의 추진 전략을 도출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단일 미생물 활용의 한계를 극복하고, 동식물의 치료,고품질 식품 생산, 인체 건강 향상, 환경문제 해결 등 무한 잠재력을 가진 분야로 선진국에서는 막대한 예산과 인력을 투입하여 기술적 선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농산업 전반에 걸친 농업의 디지털화와 함께 미생물의 과학적 이용과 관리에 대한 연구로 마이크로바이옴의 분석과 활용, 발효 종균 등 유용미생물 발굴과 이용, 동식물의 병원성미생물 제어기술 개발 등 연구를 강화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김경규 청장은 “이번 심포지엄이 농업연구기관과 민간의 전문가가 지혜를 모아 농업의 미래를 여는 마이크로바이옴 핵심 과학기술을 개발하는 중요한 첫걸음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