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복숭아 ‘유미품종' 첫 수확

농진청, 출하 앞두고 전북 임실 농가서 현장 평가회 가져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크고 맛있는 초여름 복숭아 ‘유미’ 품종 수확철을 맞아 1일 전북 임실의 농가에서 현장 평가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는 봉지를 씌우지 않고 재배할 수 있어 노동력 부담이 적은 ‘유미’ 품종의 특성과 유의점 등을 공유했다.

 

농촌진흥청에서 2008년 육성한 ‘유미’ 품종은 남부지역에서 6월 말부터 7월 초에 수확하는 조생종 복숭아다.

평균 무게는 290g, 당도는 11.9°Bx(브릭스)로, 비슷한 시기에 판매되는 다른 조생종보다 크기가 크고 달콤한 점이 특징이다.

복숭아는 병해충을 막고 색이 고르게 잘 들도록 봉지를 씌우는 재배법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유미’는 봉지를 씌우지 않아도 색이 잘 들며 수확 시기가 빨라 병해충 피해도 적다.

봉지 씌우는 데 10a당 22시간 가량 걸리며, 봉지 한 장당 40~70원이 든다. ‘유미’ 품종 재배 시 노동력과 시간,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강원도 춘천을 비롯해 전국 7개 지역에서 6년간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어는 피해(동해) 없이 안전하게 재배할 수 있다.

현재 ‘유미’의 전국 재배 면적은 약 110헥타르(ha)이며, 500헥타르(ha)를 목표로 보급을 늘릴 계획이다.

 

‘유미’ 품종을 재배한 전북 임실의 한형희 농업인은 “봉지를 씌우지 않아도 품질이 좋고 시장에서도 만족스러운 가격을 받고 있다. 생산비 절감 효과도 있어 앞으로도 무봉지 재배를 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명수 과수과장은 “농촌의 일손 부족을 해결할 대안 중 하나로 무봉지 재배가 가능한 고품질 품종 선발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정책자금 취급·사후관리 강화 현장교육 가져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은 11월 21일(금) 경북 지역 농협 정책자금 취급 담당자를 대상으로 NH농협은행과 함께 ‘제1차 농업정책자금 대출취급·사후관리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정책자금 집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급·관리상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 대출기관 담당자의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되었다. 농금원은 최근 정책자금 관리·감독 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책자금 관리 대외협력 TF’를 구성하여 농협·수협 등 정책자금 취급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TF는 정책자금 대출 취급·사후관리 절차 강화를 위한 교육·캠페인 추진, 지원·관리 데이터 구축 등을 통해 정책자금의 건전한 운영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농금원은 이번 교육을 시작으로 권역별 정책자금 현장교육을 지속 확대하고, 집합교육뿐 아니라 농업교육포털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도 단계적으로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한 TF 운영을 통해 축적되는 정책자금 지원·관리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 및 정책 방향 설정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서해동 원장은 “정책자금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농업인이 체감하는 정책 효과도 커진다”며, “앞으로도 현장 중심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정책자금 취급·사후관리 강화 현장교육 가져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은 11월 21일(금) 경북 지역 농협 정책자금 취급 담당자를 대상으로 NH농협은행과 함께 ‘제1차 농업정책자금 대출취급·사후관리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정책자금 집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급·관리상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 대출기관 담당자의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되었다. 농금원은 최근 정책자금 관리·감독 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책자금 관리 대외협력 TF’를 구성하여 농협·수협 등 정책자금 취급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TF는 정책자금 대출 취급·사후관리 절차 강화를 위한 교육·캠페인 추진, 지원·관리 데이터 구축 등을 통해 정책자금의 건전한 운영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농금원은 이번 교육을 시작으로 권역별 정책자금 현장교육을 지속 확대하고, 집합교육뿐 아니라 농업교육포털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도 단계적으로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한 TF 운영을 통해 축적되는 정책자금 지원·관리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 및 정책 방향 설정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서해동 원장은 “정책자금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농업인이 체감하는 정책 효과도 커진다”며, “앞으로도 현장 중심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