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한국, IFAD와 손잡고 “가난한 농촌 돕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국제농업개발기금 IFAD와 협약체결로 협력 강화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창길)은 5월 13일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국제농업개발기금(IFAD)과 전 세계 가난한 농촌을 돕기 위한 협정에 서명하고 개발도상국의 기아와 빈곤 퇴치를 위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날 협약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한 제3차 지속가능농업개발(ODA) 포럼의 일환으로 추진되었으며, KREI의 김창길 원장과 IFAD의 호웅보 총재가 서명해 이루어졌다.

 

IFAD는 심화되는 세계 식량 문제를 해결하고, 개발도상국의 농업개발을 위한 자금의 지원을 목적으로 1976년 설립된 국제기구이다. 개발도상국의 소농을 대상으로 지식과 기술, 신용, 시장의 접근성을 지원하는 것을 비롯해 농촌이 기후 변화의 영향을 완화하고 적응하도록 돕는 등 식량 안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한국 또한 개발 원조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함께 협력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KREI와 IFAD는 개발도상국의 농업 가치사슬, 기후변화 적응 농업 실천, 식량 안보를 위해 적극 협력할 계획이다.

길버트 호웅보 IFAD 총재는 "빈곤과 배고픔을 끝내는 데 초점을 맞춘 1, 2차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는 것은 기부자, 정부, 금융 기관, 민간, 농민단체, 정책 입안자들 사이의 효과적인 협력 관계에 달려 있다"라고 말했다. 또한, "이번 협약은 한국의 놀라운 농촌 혁신의 성공으로부터 교훈을 얻고, 다른 나라들이 그 경험을 통해 이익을 얻도록 하기 위해 이루어졌다"고 밝혔다.

 

김창길 원장은 “한국은 식량원조 수혜국에서 공여국이 된 세계 유일의 나라로, 농촌의 빈곤을 타파하고 이제는 모두가 살기 좋은 농촌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연구원이 그 과정을 함께 해왔다”라고 말했다. 또한, “오늘의 협약이 전 세계 농촌의 현실을 변화시키는 시작점이 되길 바란다”고 기대를 나타내며, “향후 IFAD와의 공동연구 추진 등 후속 대책도 마련해 추진한다”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협, "수의계약 안된다!"...종합 개선대책 마련 발표
농협중앙회(회장 강호동)는 공정하고 투명한 계약문화 정착으로 청렴하고 신뢰받는 농협 구현을 위해 전 계열사를 대상으로 '수의계약 운영 개선 종합대책'을 마련, 발표했다. 이번 종합대책은 수의계약 원칙적 금지와 계약관련 내부통제를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통해 농협중앙회는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정한 계약 체계를 확립하여 부정부패 근절, 사고 제로화를 실현할 계획이다. ◈ 수의계약 운영기준 대폭 강화 우선 농협중앙회는 수의계약 체결 범위를 엄격히 제한하기로 했다. 계약업무 시 천재지변, 자연재해 등 국가 관계법령(국가계약법, 지방계약법 등)상 명시된 사유와, 농업인 조합원에게 이익이 환원되는 계열사와의 수의계약을 제외한 모든 경우의 수의계약을 제한하기로 했다. 계열사 수의계약에 있어서도 물품구매의 경우 전면 금지하고, 경쟁 입찰을 적용할 방침이다. 이를 이행하지 않거나 위반할 경우 중징계 등 강력한 제재를 통해 공정한 경쟁 환경 조성과 거래의 투명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계열사 수의계약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대신, 중증장애인기업, 여성기업, 사회적기업 등 우선구매 대상 업체와의 계약 비중을 대폭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내부통제 절차 강화 농협중앙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