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축산 정보통신기술 장치, 꼼꼼하게 관리하세요”

온도‧습도 감지기, 사료 공급 장치 등 주기적으로 청소‧점검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축산 농가에서 설치해 운용 중인 정보통신기술(이하 ICT) 장비의 점검 사항을 제시하고 주기적인 관리를 당부했다.

지난해 12월 기준, ICT 장비를 설치한 전국의 축산 농가는 1,425호에 이른다. 정부는 2022년까지 전체 축산 농가의 25%인 5,750호까지 장치 보급을 확대한다는 계획을 밝혔다1).

 

축산 ICT 장치 중 환경 관리 장치는 간단한 청소만으로도 고장을 줄이고 수명은 늘릴 수 있다.

밀폐형 축사는 겨울철 환기 횟수가 줄면서 내부에 먼지가 쌓이기 쉬우므로 일주일에 1회 이상 먼지를 제거한다.

폐쇄회로 CCTV는 카메라 렌즈에 먼지가 쌓이면 영상 확인이 어렵다. 주기적으로 영상을 확인하며 빗자루로 먼지나 거미줄을 털어낸다.

 

온도와 습도, 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감지기(센서)도 먼지에 취약하다. 수명을 늘릴 수 있도록 먼지 제거에 신경 쓰고, 감지기를 별도의 보호장치에 넣어 운용한다.

가축에게 먹이를 주는 장치는 한 번 고장 나면 손실이 크다.

자동 사료 공급 장치는 모터(발동기)에 연결된 계량컵의 회전 횟수로 사료량을 측정한다. 추운 날씨에 계량컵 안의 사료가 얼어 덩어리가 되면 계량컵만 돌고 사료는 공급되지 않으므로 자주 점검하고 컵을 청소한다.

 

송아지에게 젖을 먹이는 자동 포유 장치(자동젖먹이기장치)는 체중을 측정하는 바닥 부분이 철판으로 돼 있다. 겨울에는 분뇨가 얼어붙어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제때 치우도록 한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환경과 곽정훈 과장은 “축산 ICT 장치들은 주기적으로 먼지나 분뇨 등 이물질을 제거해야 수명을 늘리고 고장을 줄일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검역본부, '동물줄기세포' 연구성과 활용과 협력 강화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김정희)는 국내 인체 및 동물줄기세포 민·관·학 전문가가 참여하는 ‘동물줄기세포 연구개발 심포지엄’을 최근 경북 김천 소재 검역본부에서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줄기세포 및 오가노이드(organoid)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동물용의약품 개발과 난치성 질환 치료를 위한 연구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오가노이드(organoid)는 줄기세포나 특정 조직 세포를 배양하여 실제 장기와 유사한 기능을 재현하는 3차원 세포 집합체이다. 심포지엄에는 국내 줄기세포 및 오가노이드 분야를 선도하는 전문가 5명이 연자로 참여하여 최신 연구 성과와 향후 발전 방향을 발표하였다. 먼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주경민 교수는 연구·개발 중인 줄기세포치료제 및 세포유전자치료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모달리티를 활용한 줄기세포 효능 강화기술, 조직 특이적 줄기세포의 정밀 분리·배양·제조기술 등 두 가지 핵심 플랫폼을 소개하며, 이를 기반으로 개발된 ‘히스템’, ‘씨스템’ 등 치료제 개발 현황을 발표하였다. 자체 줄기세포 생산시스템을 보유한 충현동물병원 강종일 원장은 개 태반 유래 중간엽줄기세포를 활용한 임상 적용 사례를 발표하였다. 만성신부전, 간질,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