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밀크어트 챌린지’ 수상자 3인 '눈길끌어'

우유자조금관리워원회 “우유 마신 뒤 포만감 늘고 체중 줄어”

지난 11일, ‘2018 밀크어트 챌린지’의 수상자 3인이 밝혀졌다. 체중 23kg을 감량한 김현철 씨가 우승했고, 하재엽 씨와 김미진 씨가 2,3위에 올랐다. 이들은 체중 감량 비결에 대해 공통적으로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기, 내 몸에 맞는 운동하기, 매일 우유 두 잔(400㎖) 마시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현철 씨가 밀크어트 챌린지에 도전하게 된 계기는 두 딸에게 당당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서였다. 그는 굶기와 폭식을 거듭하며 다이어트를 7번 실패했고, 밀크어트를 통해 건강을 되찾고 싶었다. 네이쳐휘트니스 김태진 관장이 칭찬할 만큼, 김현철 씨는 참가자들 중 가장 큰 열의를 보이기도 했다.

 

참가자 중 몸무게 23kg 감소(111kg→88kg), 체지방률 14% 감소(32.6%→18.6%), 근육량 2.2kg 감소(69kg→66.8kg) 등 가장 큰 변화에 성공하며 최종 점수 570점을 받았다. 그는 밀크어트에 대해 “우유와 물 마시는 습관을 들이니 탄산음료를 안 찾게 됐다”며, “밀크어트를 하면 공복감이 줄어들어 운동할 때 도움이 되는 것 같고, 규칙적인 생활이 가능해졌다”고 전했다.

 

또 다른 아빠 참가자 하재엽 씨는 직장생활과 결혼을 거쳐 자기 관리에 소홀해졌고, 두 아이에게 멋진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밀크어트 챌린지를 신청했다. 그는 밀크어트를 통해 규칙적인 생활 패턴과 균형 잡힌 식단, 우유 섭취로 체중감량 효과를 톡톡히 봤다. 특히 “벨트가 두 칸 줄어든 걸 보면서 신체변화를 가장 실감했다”며, “우유를 마시면 배고픔을 덜 느껴서 예전보다 체중 감량이 더 수월했다”고 소감을 전했다. 몸무게 14.1kg 감소(100kg→85.9kg), 체지방률 9.2% 감소(35.8%→26.6%), 근육량 0.2kg 감소(58.8kg→58.6kg)하며 최종점수 566점을 받았다.

 

김미진 씨의 경우, 굶기·약물 다이어트·주사요법 등 잘못된 방법으로 다이어트를 여러 번 실패한 뒤, 자신감을 되찾고 싶어서 밀크어트 챌린지를 찾았다. 그는 밀크어트에 대해 “나 자신을 사랑하는 방법을 찾았다”며, “운동 후 우유를 마시니 잠을 잘 자고, 배고파도 무작정 굶었던 예전과 달리 포만감이 생겨 간식을 안 먹게 됐다”고 전했다. 10주 뒤, 몸무게 3.6kg 감소(61kg→57.4kg), 체지방률 6.8% 감소(26.2%→19.4%), 근육량 1.8kg 증가(41.2kg→43kg)하며 최종점수 512점을 받았다.

 

도전자들은 밀크어트의 장점으로 ‘포만감’을 꼽았다. 이들이 배고프지 않게 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었던 것은 우유의 칼슘·단백질·필수지방산 때문이다. 칼슘이 체내 지방과 결합해 분변으로 배출시키고, 지방 분해를 돕고 재흡수를 억제시키며, 단백질은 지방을 만드는 호르몬 생성을 억제해 지방 생성을 막아준다. 필수지방산의 경우, 지방 생성을 조절해 체내 지방을 줄이고 포만감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해 WE클리닉 조애경 원장은 “밀크어트는 다이어트 시 부족하기 쉬운 단백질을 보충하는 효과가 있고, 특히 칼슘이 지방 축적 자체를 막아준다. 또한 지방산은 포만감을 주고 과식을 막아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전했다.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 관계자는 “밀크어트 챌린지 참가자 대부분 체중과 체지방량을 감량한 반면, 근육량과 영양소 손실은 최소화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내 몸에 맞는 운동과 균형 잡힌 식단, 그리고 우유 섭취가 건강한 다이어트에 꼭 필요한 요소임을 입증했다. 앞으로 보다 많은 분들이 밀크어트에 관심을 가지고 도전해 보셨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우자조금, ‘한우농가 디지털정보 활용과 생산성 향상’ 국제 심포지엄 성료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한우협회장)는 한우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인공지능(AI) 시대 대응 전략 마련을 위해 지난 5일(수)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한우농가 디지털정보 활용 및 생산성 향상’ 국제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최근 AI 시대 도래로 모든 산업이 대응 전략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으나, 한우산업은 상대적으로 뒤처진 상황이다. 이에 한우자조금은 산재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공익 목적의 맞춤형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한우디지털정보센터(HDIC) 구축과 AI 기반 정보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이번 심포지엄을 마련했다. ‘송아지 육성률 향상 및 생산성 기반, 지속 가능한 축산의 시작’을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는 한우농가, 학계, 유관기관 관계자가 참석했으며, 현장 사례와 질의응답 중심으로 진행됐다. △한우디지털정보시스템 소개 및 서비스 방안(하재정, 한우자조금 책임연구위원)을 시작으로 △번식농가의 필수 기본기 4원칙(고봉석, 거기한우 대표) △송아지 맞춤형 인공포유 및 질병의 예방과 치료(강기웅, 우사랑동물병원장) △일본 화우 송아지의 최신 사양관리 기술 및 현장사례(노상건, 일본 도호쿠대학교 교수) 등 다양한 주제 발표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