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농촌경제연구원 "양파-마늘 파종 평년수준 웃돌아"

KREI 농업관측본부, 재배의향 평년 대비 증가하여 작황 문제없을 경우 생산량 평년수준 이상 전망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본부에서는 “2019년산 마늘양파 재배의향 속보를 발표하였다.

표본농가 조사와 모형 추정결과, 2019년산 마늘 재배면적은 2018년산 마늘 가격 약세로 전년보다 6~8% 감소하나, 평년보다는 10~13% 증가한 26,000~26,700ha 내외로 전망된다. 품종별로는 한지형 마늘 재배면적이 전년 대비 2%, 난지형은 7% 감소하나, 평년보다는 각각 3%, 1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9년산 양파 재배면적은 2018년산 양파 가격이 낮게 형성됨에 따라 전년보다 9~15% 감소하나, 평년에 비해서는 7~14% 증가한 22,600~ 24,000ha 내외로 전망된다. 품종별로는 조생종 양파 재배면적이 전년 대비 15%, 중만생종 양파는 14% 감소하나, 평년 대비로는 각각 17%, 6% 증가가 예상된다.

마늘 및 양파의 추정 재배면적에 평년 작황을 가정할 경우, 2019년산 마늘 생산량은 339천 톤 내외, 양파는 1432천 톤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마늘 생산량은 생산량이 크게 많았던 전년보다 2%, 평년 대비 11% 증가한 것이며, 양파의 경우 전년보다 6% 적으나 평년에 비해 10% 많은 수준이다. 따라서 유사 생산량을 보였던 과거 사례와 비교시 가격 하락이 우려되므로, 마늘양파 농가의 신중한 재배규모 결정이 요구된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