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농촌경제연구원 "양파-마늘 파종 평년수준 웃돌아"

KREI 농업관측본부, 재배의향 평년 대비 증가하여 작황 문제없을 경우 생산량 평년수준 이상 전망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본부에서는 “2019년산 마늘양파 재배의향 속보를 발표하였다.

표본농가 조사와 모형 추정결과, 2019년산 마늘 재배면적은 2018년산 마늘 가격 약세로 전년보다 6~8% 감소하나, 평년보다는 10~13% 증가한 26,000~26,700ha 내외로 전망된다. 품종별로는 한지형 마늘 재배면적이 전년 대비 2%, 난지형은 7% 감소하나, 평년보다는 각각 3%, 1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9년산 양파 재배면적은 2018년산 양파 가격이 낮게 형성됨에 따라 전년보다 9~15% 감소하나, 평년에 비해서는 7~14% 증가한 22,600~ 24,000ha 내외로 전망된다. 품종별로는 조생종 양파 재배면적이 전년 대비 15%, 중만생종 양파는 14% 감소하나, 평년 대비로는 각각 17%, 6% 증가가 예상된다.

마늘 및 양파의 추정 재배면적에 평년 작황을 가정할 경우, 2019년산 마늘 생산량은 339천 톤 내외, 양파는 1432천 톤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마늘 생산량은 생산량이 크게 많았던 전년보다 2%, 평년 대비 11% 증가한 것이며, 양파의 경우 전년보다 6% 적으나 평년에 비해 10% 많은 수준이다. 따라서 유사 생산량을 보였던 과거 사례와 비교시 가격 하락이 우려되므로, 마늘양파 농가의 신중한 재배규모 결정이 요구된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농어업정책 대전환을 위한 지역별 타운홀 미팅 시작
대통령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위원장 김호)는 내년 2월까지 농어업정책 대전환을 위한 지역별 타운홀 미팅을 12월 1일 충청남도를 시작으로 전국 9개 광역지자체에서 순차적으로 개최한다. 이번 지역별 타운홀 미팅은 국정원칙인 ‘경청과 통합’에 따라 농어업 현장과 밀접한 대화와 소통, 협력의 장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기후위기와 인구위기, 고령화 등 복합위기를 마주하고 있는 농어업인의 다양한 의견과 애로사항을 직접 듣고 새로운 정책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간담회 진행은 정부의 농산어촌 국정과제와 각 도별 도정방향과 이슈를 공유한 후, 김호 위원장 주재로 농어업인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의 현장 의견을 직접 청취하는 양방향 소통방식으로 진행된다. 이와 함께 김호 위원장은 지역별 타운홀 미팅과 연계하여 농어업에 대한 실질적인 문제 파악 및 해결방안 등을 모색하고자 인근 지역의 농어업 현장도 직접 방문할 계획이다. 김호 위원장은 “금번 실시하는 지역별 타운홀 미팅이 농어업정책 대전환을 통해 농어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더불어 농어업인이 체감하는 정책이 구현되어 행복한 농어업·농어촌으로 가길 기대한다”면서, “생생한 의견을 바탕으로 위원회가 농어업정책 대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