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한우협회, 6월1일 전국동시지방선거 앞두고 공약 요구사항 발표

- 농정 현안 해결 및 지속가능한 한우산업 유지를 위한 정책안 발표
- 한우최저가격보장제, 사료가격 수급안정을 위한 지원, 국내산 조사료와 볏짚 활성화 지원
- 경축순환 활성화, 저탄소축산물인증직불제, 청년농부 최저임금보장제, 고향사랑기부제 정착방안요구

전국한우협회(회장 김삼주)는 6월 1일 실시되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농정 현안 해결 및 지속가능한 한우산업 유지를 위한 공약 반영 요구사항을 발표했다.

전국한우협회는 한우최저가격보장제, 사료가격 수급안정을 위한 지원, 국내산 조사료 및 볏짚 활성화 지원, 경축순환 활성화, 저탄소축산물인증직불제, 청년농부 최저임금보장제, 고향사랑기부제 정착방안 마련 등 7대 요구사항을 발표하고 지방선거 후보자들이 공약으로 채택하고 임기 내 실현해 줄 것을 요구했다.

향후 4년간 지방·교육행정을 책임질 일꾼을 선택하는 이번 전국동시지방선거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지방소멸시대에 농어촌지역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방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현지 농축산물 가격불안과 생산비 증가 속에서 농가소득 안정을 위한 최소한의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김삼주 전국한우협회장은 “식량안보와 탄소중립형 재생농업을 실현하고, 지방소멸 해결 및 농촌지역 활성화를 위한 대안은 한우산업뿐이다”며 “농축산인들의 권리증진을 위해 남은 지방선거 기간 동안 각 지역별 정당 후보자들에게 공약요구사항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우협회 지회·지부장, 그리고 지역의 한우농가 모두 노력해 줄 것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팜스코, ‘2025 경남 양돈 전략세미나’ 성료
㈜팜스코(대표이사 김남욱)는 지난 10월 30일 진주 제이스퀘어호텔에서 ‘2025 팜스코 양돈 전략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경남 지역의 양돈 농가 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팜스코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지속 가능한 양돈산업의 미래 전략을 공유하는 뜻깊은 자리로 진행됐다 첫 순서로 장원구 양돈팀장은 ‘양돈시황과 전략’을 주제로 2025년 돈가 형성 요인을 국내 공급·수입·소비 측면에서 분석하며 현황을 정리했다. 그는 “공급 부족으로 인한 고돈가 기조가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전망”이라며, “이러한 시황 속에서 모돈 갱신에 대한 투자와 후보돈·대군농장을 중심으로 한 순종모돈 공급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2026년 다산성 모돈의 연산성과 순종모돈 관리 강화를 위해 팜스코의 등지방 측정 캠페인을 소개하고, 솔루션 시리즈의 마지막 퍼즐인 ‘솔루션M’의 특장점과 접목 필요성을 강조했다. 홍승범 지역부장은 ‘팜스코와 함께하는 탄소중립’을 주제로 발표를 이어갔다. 그는 탄소중립 정책의 흐름과 저탄소축산물 인증 제도를 설명하며, 단순한 인증 참여를 넘어 실질적인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위한 질소저감 사료의 역할을 강조했다. 또한 팜스코의 ‘질소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팜스코, ‘2025 경남 양돈 전략세미나’ 성료
㈜팜스코(대표이사 김남욱)는 지난 10월 30일 진주 제이스퀘어호텔에서 ‘2025 팜스코 양돈 전략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경남 지역의 양돈 농가 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팜스코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지속 가능한 양돈산업의 미래 전략을 공유하는 뜻깊은 자리로 진행됐다 첫 순서로 장원구 양돈팀장은 ‘양돈시황과 전략’을 주제로 2025년 돈가 형성 요인을 국내 공급·수입·소비 측면에서 분석하며 현황을 정리했다. 그는 “공급 부족으로 인한 고돈가 기조가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전망”이라며, “이러한 시황 속에서 모돈 갱신에 대한 투자와 후보돈·대군농장을 중심으로 한 순종모돈 공급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2026년 다산성 모돈의 연산성과 순종모돈 관리 강화를 위해 팜스코의 등지방 측정 캠페인을 소개하고, 솔루션 시리즈의 마지막 퍼즐인 ‘솔루션M’의 특장점과 접목 필요성을 강조했다. 홍승범 지역부장은 ‘팜스코와 함께하는 탄소중립’을 주제로 발표를 이어갔다. 그는 탄소중립 정책의 흐름과 저탄소축산물 인증 제도를 설명하며, 단순한 인증 참여를 넘어 실질적인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위한 질소저감 사료의 역할을 강조했다. 또한 팜스코의 ‘질소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