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축평원 "축산물 생산·도매·소매가격 모두 상승"

- 축산물품질평가원, ‘2021년 축산물 유통정보조사 결과’ 발표
- 축산물 유통비용률은 47.7%로 평년과 비슷한 수준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장승진, 이하 축평원)은 ‘2021년 축산물 유통정보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주요 축산물의 생산·도매·소매 가격은 전년 대비 모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가격 기준으로 쇠고기(한우), 돼지고기, 닭고기, 오리고기, 계란, 벌꿀은 각각 6.7%, 8.9%, 14.1%, 42.9%, 43.7%, 5.4% 상승하였다.
주요 축산물의 유통비용률은 47.7%로 평년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품목별 유통비용률은 쇠고기 48.1%(전년비 -0.1%p), 돼지고기 48.7%(-1.2%p), 닭고기 57.1%(+2.0%p), 오리고기 35.0%(-11.4%p), 계란 37.0%(-9.0%p)로 나타났다.

품목별로 판매량이 가장 많은 업태는 쇠고기‧돼지고기가 정육점, 닭고기는 프랜차이즈, 오리고기는 일반음식점, 계란은 대형마트로 나타났다.

이들 업태의 점유율은 각각 쇠고기 28.5%(전년비 –2.8%p), 돼지고기 25.6%(+0.7%p), 닭고기 37.3%(+13.7%p), 오리고기 44.7%(-1.2%p), 계란 29.3%(-9.1%p)이었다.

한편, 올해부터 조사 대상에 온라인과 하나로마트를 추가하여 가격과 판매량 등을 더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됐다.

또한, 동물복지·친환경 닭고기 판매가격, 닭고기 부분육(절단육, 가슴살 등) 식육포장처리업체와 대리점 판매가격도 추가했다.

 


이번 조사결과는 보고서로 발간하여 정부기관 및 언론사‧학회와 관련 단체 등에 배부할 예정이며, 축산유통정보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축평원 장승진 원장은 “이번 보고서에 수록된 내용이 정책수립, 학술연구, 중장기 시장분석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널리 활용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