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1인 가구 10명 중 4명은 ‘밥ㆍ김치’ 위주 식사 

 

 -‘우유ㆍ유제품과 과일’로 식사하면 대사증후군 위험 60% 감소

-남성은 ‘밥ㆍ김치’, 여성은 ‘우유ㆍ유제품과 과일’ 선호

-영남대 서정숙 교수팀, 1인 가구 남녀 368명 분석 결과 

 

1인 가구 10명 중 4명은 여전히 밥과 김치 위주의 단조로운 식사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식사 메뉴를 우유ㆍ유제품과 과일을 중심으로 구성하는 1인 가구의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은 밥ㆍ김치 중심인 1인 가구보다 60% 낮았다. 

11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영남대 식품영양학과 서정숙 교수팀이 2013∼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9∼64세 1인 가구 남녀 368명을 대상으로 주 식사 메뉴와 대사증후군의 상관성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 결과(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의한 식이 패턴별 1인 가구의 영양 상태와 대사증후군 위험도)는 한국영양학회 학술지(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최신호에 소개됐다.  

 

서 교수팀은 연구 대상자가 주로 선택하는 식사 메뉴에 따라 ‘밥ㆍ김치’ 그룹ㆍ‘혼합식’ 그룹(면ㆍ만두류ㆍ고기ㆍ닭고기ㆍ과자류ㆍ 음료류ㆍ주류), ‘우유ㆍ유제품과 과일’ 그룹 등 세 그룹으로 나눴다.  ‘밥ㆍ김치’ 그룹의 비율이 전체의 40.6%로 가장 높았다. 이어 ‘혼합식’ 그룹(38.8%)ㆍ‘우유ㆍ유제품과 과일’ 그룹(20.6%) 순이었다.   주 식사 메뉴는 1인 가구의 성별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1인 가구 남성은 ‘밥ㆍ김치’ 중심으로 식사한다는 비율이 60.5%, ‘혼합식’ 식사를 한다는 비율이 63.7%였다.

 

1인 가구 여성은 63.8%가 ‘우유ㆍ유제품과 과일’ 위주의 식사를 한다고 응답했다.  연령대에 따라서도 선호하는 식사 메뉴가 달랐다. ‘혼합식’ 식사는 20대 1인 가구, ‘우유ㆍ유제품과 과일’ 위주의 식사는 신중년으로 통하는 50∼64세 1인 가구가 더 많이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유ㆍ유제품과 과일’ 위주의 식사를 하는 1인 가구 성인의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은 ‘밥ㆍ김치’ 위주로 식사하는 1인 가구의 0.4배였다.  

 

한편 한국인이 전통식 위주로 식사를 할수록 대사증후군 발병률이 2배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있다. 과일을 포함한 건강한 식사는 이란 여성ㆍ그리스 성인의 대사증후군 위험을 낮췄다는 연구 논문도 있다. 이란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선 우유 섭취량이 많을수록 허리둘레ㆍ혈중 중성지방 농도ㆍ혈압 등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낮아졌다.  

 

서 교수팀은 논문에서 “국내 1인 가구 비율은 2019년 30.2%로 증가해 가장 일반적인 가구 형태가 됐다”며 “1인 가구가 ‘밥ㆍ김치’와 같이 단조로운 식사를 지속하면 대사증후군 등 건강 취약계층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정부 양곡 2.5만톤 추가 방출... 15일까지 물량신청 서둘러야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쌀 수급 안정을 위해 정부양곡(벼)을 추가로 2.5만 톤(정곡) 공급한다고 밝혔다. 지난 8월 25일부터 공급한 정부양곡 3만 톤의 판매 현황을 조사한 결과, 9월 5일까지 2주 동안 공급 물량의 절반 이상을 판매 완료하였고, 잔여 물량 또한 2주 내외 공급 가능한 물량으로, 햅쌀(중만생종)이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10월 중순까지 지역에 따라 1~2주일간의 원료곡이 부족한 상황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올해 조생종 수확 시기에 잦은 비로 인한 조생종 출하가 늦어져 구곡에 대한 산지유통업체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농식품부는 이번에 추가로 2.5만 톤(정곡)을 공급하여 산지유통업체의 원료곡(벼) 확보 애로를 충분히 해소하여 쌀 수급 안정을 도모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번 정부양곡 공급 대상은 ’24년 정부 벼 매입자금 지원 대상인 산지유통업체와 연간 매입물량이 3천 톤 이상인 임도정업체(이하 대상업체)이다(지난 8월 3만 톤 정부양곡 대여 공급대상과 동일). 대상업체 중 정부양곡 공급을 희망하는 업체는 농협경제지주 공지에 따라 9월 15일까지 희망 물량을 제출하면 된다. 대상업체의 전년도 쌀 판매량 비중을 감안하여 대여 물량이 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