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한국마사회 말 전염병 퇴치위한 전국 말 방역사업 완료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전 세계가 방역과의 전쟁에 나선 가운데, 고병원성 AI, 아프리카 돼지열병 등 가축 전염병의 확산 또한 호시탐탐 우리의 일상을 위협하고 있다. 지난 6일 국내 유일의 말산업 육성 전담기관인 한국마사회는 말을 통한 전염병 전파요소를 미연에 방지하고 체계적 말 방역 관리를 위해 추진한 ‘2020년 전국 말 방역사업’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말 전염병은 전국 2만여 두 말들에게는 코로나19 이상으로 치명적일 수 있다.  한국마사회는 20년 한 해 동안 농림축산식품부와 함께 전국의 모든 마필을 대상으로 주요 전염병에 대한 방역활동을 벌였다. 이를 통해 바이러스 전파를 사전에 예방하고 말산업 육성기반을 보호할 수 있었다.

 

한국마사회는 자체예산과 농어촌구조개선 특별회계를 통해 총 21억 원의 사업비를 마련, 전국에 말 방역수의사를 지정해 19,695두 마필에 예방백신 4종의 접종을 지원했다. 개체별 접종내역은 모두 전산시스템에 입력되고 온라인으로 누구나 조회가 가능해 생산자나 판매자, 구매자 모두에게 유용한 정보로 활용되고 있다.

 

 

더불어 농림축산검역본부와 합동으로 전국 1300여두의 말을 대상으로 주요 말 전염병 혈청검사를 통한 예찰을 실시했으며 2200여두 번식마를 대상으로 말전염성자궁염 일제조사 또한 진행했다. 이밖에도 국내 유입 위험이 높은 아프리카마역의 확산 방지를 홍보자료를 배포하는 등 빈틈없는 방역을 위해 힘썼다.

 

한국마사회 관계자는 “코로나19로 말산업 전반이 어려운 상황임에도 백신 접종과 자궁염 검사 등의 예방활동을 통해 산업기반 보호와 전염병 확산 방지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