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축단협 "사료업계의 배합사료 가격인상 중단과 철회 촉구" 긴급성명

- 촉산단체협의회 성명  "코로나19로 축산업이 어려움을 겪는 때에 사료값 인상은 상생의 틀을 깨는 것"

 

연이은 ASF, AI 등의 가축질병과 사상 유례없는 코로나19로 발생한 극심한 소비위축으로 축산업의 위기가 어느 때보다 심각한 상황이다. 

 

축단협은 긴급성명에서 양돈·낙농·가금류 농가를 비롯한 전국의 축산농가들이 평생 일궈왔던 생업을 포기하는 안타까운 상황에 처해 있는데도, 일부 사료업체의 배합사료 가격 인상과 인상 움직임은 현장농가들의 가슴에 못을 박는 배신행위라는 것.

 

물론 최근 곡물가격이나 수입여건을 보면 사료업계의 고충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축산농가의 절박한 상황을 감안해 지금은 사료업계가 축산농가의 고통을 나누는데 함께 해야 할 때라고 축단협은 주장하고 있다.

 

연초부터 한돈농가에 지난해 큰 고통을 주었던 ASF에 감염된 멧돼지가 강원도 영월에서 발견되면서 연초부터 방역비상에 걸렸다. 양계 또한 장기간 생산비 이하 가격으로 인해 생사의 기로에 처해 있으며, AI가 전국적으로 창궐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그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는 사료업계가 눈 앞의 이익을 위해 농가를 외면한다면, 과연 축산업이 무너진 사료업계의 미래는 있겠는가?라며 반문하고 있다.

 

축산업과 사료업계가 지금의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선 상생(相生)만이 답이라는 것. 축산업에서 생산비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배합사료의 가격인상이 어떠한 결과를 초래할지 다시금 판단하길 바라며, 농가와 고통을 분담하고 어려움을 함께 극복하는 사료업계가 되길 촉구하고 있다.

 

또한, 혹여나 상생과 협력의 길을 외면한다면 축산농가들은 그 업체가 어딘지 주시하고 강력한 조치를 취할 것임도 천명하고 있다. 

축산농가의 피해가 오롯이 다시 사료업계의 몫으로 돌아간다는 것을 인지하기 바라며, 정부도 사료업계와 축산농가가 서로 고통분담할 수 있도록 특단의 지원책을 강구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축산관련단체협의회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농어촌희망재단 ‘가락상생기금’...산불 피해지역 영농복구에 앞장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회장 이원석)와 회원사 및 농협가락공판장은 지난 3월 안동 등 영남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영농 복구와 회생을 위해 주도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피해 복구 지원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 가락시장지회가 10억 원을, 협회 회원사 등이 4억 700만원을 출연하여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을 통해 추진한 공익사업이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도매법인과 2023년 12월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도매시장 내 민간 법인의 사회적 책임 확대 및 농어촌 지원을 위한 협약체계를 구축한바 있다. 기부금은 경북(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경남(산청, 하동), 울산(울주) 등 8개 시․군의 피해 농업인 약 8,000여명에게 총 10억 3천만원 규모의 영농자재 교환권 1만여 매와 농기계 46대 등으로 전달되었다. 이번 지원은 ‘가락상생기금’을 활용한 첫 대규모 재해복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