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농기평 '농식품 R&D 유망기술 온라인 발표' 9일 개최

오병석 농기평 원장 "농식품 분야 사업화 유망기술을 온라인으로 한 자리에"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가 주최하고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원장 오병석)이 주관하는 ‘2020년 농식품 R&D 유망기술 발표회’에서 농식품 분야 사업화 유망기술 발표 및 기술거래에 대한 상담회가 12월 9일 온라인으로 개최된다.

 

유망기술 발표회는 농림축산식품 R&D 연구성과가 사장되지 않고, 농식품 산업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기술거래 등을 촉진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코로나 19 확산 방지를 위해 누리집을 통한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하는 이번 행사에서는 사업화가 유망한 40개 기술을 확인할 수 있고, ‘노령 펫용 기능성 맞춤형 사료 제품 개발’ 등 9개 기술은 개발자의 기술소개 발표영상을 제공하며, 연구자와의 1대1 화상회의 방식을 이용한 기술거래 상담도 진행 된다.

 

아울러 기술거래 촉진으로 성과확산 분위기 조성 등을 위해 중소기업과 기술소유기관 간 ‘기술이전 업무협약식’도 개최하였으며, 코로나 19 확산 방지를 위해 협약체결현장을 영상으로 준비하여 12월 9일 누리집에서 확인 할 수 있게 하였다.

 

이번 기술이전 협약 대상 기술은 △부추 발효물로부터 분리된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K4719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건국대학교, ㈜은진바이오) △승용 자주식 대파 수확기(전주대학교, 두루통상기계) △지능형 정밀 관수를 위한 관수 스케줄링 알고리즘(경상대학교, 주식회사 유비엔), △생분해성 포터 전용 채소 정식기(경상대학교, 주식회사 동인) △상대습도 대비 체감온도를 활용한 돈사 정밀 환기 시스템(경상대학교, 주식회사 휴미템)이다.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오병석 원장은 “현장에서 필요한 기술에 R&D를 지원하고, 그 성과가 상용화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연구관리 시스템을 계속 발전시킬 예정이며, 사업화 유망기술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농식품 R&D 성과가 확산될 수 있도록 기관 차원의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