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고품질 명품 전복 ‘슈퍼왕전복’ 종자 개발

shdrlGolden Seed 프로젝트, 성장 빠르고 고수온에 강한 전복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원장 오병석)은 Golden Seed 프로젝트 사업으로 성장이 빠르고 고수온에 강한 ‘슈퍼왕전복 1호’와 ‘슈퍼왕전복 2호’를 개발하여 어가에 보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연간 수산물 소비량은 2018년 68.1kg으로 2008년 54.9kg보다 24% 증가하였는데 그 원인은 수산물이 건강 식품으로 인식되어 소비자의 선호 확대와 양식업 활성화에 따른 생산량의 증가 등으로 분석된다.

 

세계 전복생산은 2000년 1만 3천 톤에서 2015년 14만 9천 톤으로 연평균 17.5% 증가했다. 전복의 주요 생산국은 중국, 한국, 호주,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으로 상위 4개국이 전체 생산량의 95%를 차지했으며 중국이 전체 생산량의 85.6%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한국(6.5%), 호주(3.5%) 순이다.

 

국내 전복 양식 생산량은 약 2만 톤으로 국내 패류양식 생산량인 40만 톤의 5%에 불과하지만 생산금액은 6천1백억 원으로 전체 9천1백억 원의 약 67%를 차지할 만큼 높은 경제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 온도의 상승과 해양환경 악화 등으로 생산성이 저하됨에 따라 환경 변화에 대응한 우량종자의 개발이 필요하다.

 

GSP수산종자사업단은 고품질 전복 품종 개발 연구를 통하여 빠른 성장과 고수온에 강한 슈퍼왕전복 1호와 슈퍼왕전복 2호를 개발하여 전복 종자 생산 어가에 보급하였다. 2019년에 18억 2천만 개의 수정란 보급을 시작으로 2020년에는 3배 이상 늘어난 약 60억 2천만 개의 수정란을 보급했다.

 

전복은 성장이 느리고 폐사율 또한 높아 대량 생산과 양식 경영에 어려움이 있었다. 슈퍼왕전복 1호는 대부분의 전복 양식 어가에서 기르는 북방전복에 비해 성장이 약 17% 빠르고 고수온(24∼25℃)에도 높은 생존율(88.2%)을 보인다. 슈퍼왕전복 2호도 북방전복에 비해 중량이 36.8% 향상되며 비만율이 높고 먹을 수 있는 부위가 많아 상품성이 뛰어나다.

 

주관연구기관인 목포대학교는 참여기업 기술이전을 통해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으로 국내·외 전복치패의 판매량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으며 국내매출은 2017년 1억 3천만 원에서 2019년 5억 4천만 원으로 4배 이상 증가했다.

 

전복종자 수출도 이루어져서 일본 등에 2017년 37만 달러로 시작해 2019년 326만 달러를 달성했으며 현재는 북미 시장 진출을 위해 멕시코의 생산기지에서 시험생산을 추진하고 있다. GSP사업은 수산물의 수요 증가와 기후변화 등에 대비하여 우량 전복 종자 개발과 대량생산 체계 구축으로 국내 보급을 확대하며 양식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농기평 성과확산실장은 “고품질 전복 종자 개발로 국내 양식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것을 인정받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2020 국가연구개발사업 우수성과 생명·해양 분야’에 선정되었다면서 앞으로도 우수한 품종 개발을 위한 연구와 보급·확산에 주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정원, ‘천원의 아침밥’... 나만의 조리법 아이디어 발굴!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윤동진)은 대학생 먹거리 트렌드를 반영한 짧은 영상 콘텐츠를 통해, 쌀을 활용한 천원의 아침밥 우수 식단을 발굴하고자 2025년 천원의 아침밥 ‘아주 라이스’ 우수 조리법 레시피 영상 공모전을 개최한다. ‘천원의 아침밥’ 사업은 2017년부터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정원이 함께 추진해온 정책으로, 쌀 소비 촉진과 20~30대의 높은 아침 결식률 개선, 건강한 쌀 중심 아침 식사 습관 형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사업은 정부가 1인 1식당 2,000원을 지원하고, 지자체와 대학이 일부 비용을 분담하여 대학생들이 아침 식사를 1,000원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사업으로, 현재 전국 201개교에서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천원의 아침밥 사업의 식단을 보다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방식으로 보급·확산하기 위해 이번 우수 조리법(레시피) 영상 공모전이 기획되었다. 공모전 접수는 7월 7일부터 7월 31일까지 진행되며, ‘오늘을 여는 아침 밥상’을 주제로 일반식 또는 간편식 조리법을 짧은 영상 형태로 신청받는다. 작년까지는 참여대학을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나, 올해부터는 새정부 정책에 따라 사업 확대를 위해 전국 대학을 대상으로 공모전을 진행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