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한우사랑 상품권 발행 

전국한우협회와 한국간편결제진흥원 협약 갖고 한우소비 촉진 및 제로페이 활성화 위한 상생 노력 협의

 

전국한우협회와 한국간편결제진흥원이 한우소비 촉진 및 제로페이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김홍길 전국한우협회장과 한국간편결제진흥원 윤완수 이사장이 참석한 가운데, 10월 30일 전국한우협회에서 개최됐다.

 

코로나시대에 직면하면서 정부의 간편결제 시스템이 확산하는 등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국한우협회는 ‘11월 1일 대한민국이 한우먹는날’을 계기로 한국간편결제진흥원과 한우소비 촉진 및 활성화를 위한 한우사랑상품권을 발행하고, 향후 지속 발행여부도 검토해 간다는 계획이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발행되는 한우사랑 상품권은 100% 한우만 취급하는 전국의‘우리한우판매점’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20% 지원된 금액으로 5,000매를 발행할 계획이다.

 

결제수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탄생한 간편결제시스템인 제로페이를 통해 우리한우판매점을 운영하는 소상공인과 한우를 찾는 소비자 양측 모두에게 큰 만족감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전국한우협회는 이번 협약을 통해 우리한우판매점에 대한 브랜드이미지를 제고하고 한우에 대한 소비자 신뢰를 바탕으로 한우소비 활성화를 이끈다는 계획이다.

 

김홍길 전국한우협회장은 “한우사랑상품권을 통해 국민들이 한우를 더욱 저렴하게 찾고 즐기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한우가격을 절감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낼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우사랑상품권 구매는 비플제로페이, 체크페이, 머니트리, 페이코, 핀트, 핀크, 올원뱅크, BNK경남은행 모바일뱅킹, 썸뱅크, IM샵, 전북은행 뉴스마트뱅킹, 광주은행 개인뱅킹, 티머니에서 할 수 있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정책자금 취급·사후관리 강화 현장교육 가져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은 11월 21일(금) 경북 지역 농협 정책자금 취급 담당자를 대상으로 NH농협은행과 함께 ‘제1차 농업정책자금 대출취급·사후관리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정책자금 집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급·관리상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 대출기관 담당자의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되었다. 농금원은 최근 정책자금 관리·감독 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책자금 관리 대외협력 TF’를 구성하여 농협·수협 등 정책자금 취급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TF는 정책자금 대출 취급·사후관리 절차 강화를 위한 교육·캠페인 추진, 지원·관리 데이터 구축 등을 통해 정책자금의 건전한 운영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농금원은 이번 교육을 시작으로 권역별 정책자금 현장교육을 지속 확대하고, 집합교육뿐 아니라 농업교육포털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도 단계적으로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한 TF 운영을 통해 축적되는 정책자금 지원·관리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 및 정책 방향 설정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서해동 원장은 “정책자금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농업인이 체감하는 정책 효과도 커진다”며, “앞으로도 현장 중심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정책자금 취급·사후관리 강화 현장교육 가져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은 11월 21일(금) 경북 지역 농협 정책자금 취급 담당자를 대상으로 NH농협은행과 함께 ‘제1차 농업정책자금 대출취급·사후관리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정책자금 집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급·관리상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 대출기관 담당자의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되었다. 농금원은 최근 정책자금 관리·감독 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책자금 관리 대외협력 TF’를 구성하여 농협·수협 등 정책자금 취급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TF는 정책자금 대출 취급·사후관리 절차 강화를 위한 교육·캠페인 추진, 지원·관리 데이터 구축 등을 통해 정책자금의 건전한 운영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농금원은 이번 교육을 시작으로 권역별 정책자금 현장교육을 지속 확대하고, 집합교육뿐 아니라 농업교육포털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도 단계적으로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한 TF 운영을 통해 축적되는 정책자금 지원·관리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 및 정책 방향 설정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서해동 원장은 “정책자금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농업인이 체감하는 정책 효과도 커진다”며, “앞으로도 현장 중심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