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식품제조업 ‘국산 원재료 사용률’ 5년째 31% 머물러

국산 원재료 사용량 2014년 대비 2019년 14.3% 증가

우리나라 식품산업의 성장에 따라 국산 원재료 사용량은 매년 증가하였지만 국산 원재료 사용률은 31.3%~31.5%로 5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영진 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병)이 최근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식품제조업의 국산 원재료 사용 현황’자료에 따르면 국내산 비중은 2014년 31.3%, 2015년 31.5%, 2016년 31.4%, 2017년 31.4%, 2018년 31.3%에 머물고 있다.

 

 

2018년 식품제조업의 국산 원재료 사용 현황(중분류 기준)

(단위 : 톤, %)

중분류

전체원료 사용량

국산원료 사용량

국산원료 사용비중

곡류 및 곡분

6,432,726

467,534

7.3

두류 및 서류(주정포함)

2,466,730

240,332

9.7

엽근채류

904,850

884,198

97.7

양념채소류

280,819

186,128

66.3

특용작물

47,113

20,848

44.3

과일채소류 및 과일채소류 유래식품 소재

373,485

283,189

75.8

축산물 및 축산물 유래식품

921,549

714,921

77.6

우유 및 유가공품

2,281,536

2,160,697

94.7

전분류

247,106

16,315

6.6

당류

2,591,727

91,557

3.5

식용유지류

393,604

6,225

1.6

커피 및 커피류 식품 소재

92,416

0

0

코코아 가공품류

24,096

0

0

식초류

12,208

6,916

56.7

기타

41,630

27,877

67.0

(자료출처 : 2020년 농림축산식품부 국정감사 자료)

 

2018년 식품제조업의 국산 원재료 중분류별 사용현황을 살펴보면 국산 원료 사용비중이 90% 이상인 품목은 엽근채류, 우유 및 유가공품, 김, 인삼, 홍삼, 계란 등 23개 품목으로 이들의 국산 원료 사용량은 375만 톤이며 전체 국산사용량 560만 톤의 67.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산 원료 사용비중 20% 이하 품목은 원당, 소맥분, 옥수수, 타피오카, 주정, 대두, 백설탕, 포도당류 등 46개 품목으로 조사됐다. 특히 커피 및 커피류 식품 소재, 코코아 가공품류는 국산원료 사용 비중이 0% 였다.

 

<표-1> 식품제조업의 국산 원재료 사용 현황

(단위: 만톤, %)

구 분

전체원료 사용량

국산원료 사용량

국내산 비중

2014

1,565.2

489.3

31.3

2015

1,634.0

515.3

31.5

2016

1,651.2

518.9

31.4

2017

1,715.1

538.2

31.4

2018

1,787.1

559.8

31.3

(자료출처 : 2020년 농림축산식품부 국정감사 자료)

 

한편 식품산업의 성장으로 국산 원재료 사용량은 2014년 489만톤, 2015년 515만톤, 2016년 519만톤, 2017년 538만톤, 2019년 559만톤으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고 국산 원재료 사용량은 2014년에 비해 2019년 14.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김영진의원은 “식품산업의 성장에 따라 국산 원재료 사용량은 매년 증가하였지만 국산원재료 사용률은 31.3% ~ 31.5%로 5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국산농산물의 식품산업 원재료 사용량의 증가는 국내 농업 발전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므로 식품산업계의 수요에 맞춘 다양한 식품산업‧외식산업‧급식산업의 원료가공기술 및 안정적 공급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를 위해 식품 원재료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계약 재배 확대, 식품 가공용 품종 개발 및 보급 확대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김영진의원은 “식품제조가공업의 원재료 사용률뿐만 아니라 로컬푸드 등 다양성과 신선도를 강조한 외식산업계의 원재료로 사용 확대를 지원하고 외식산업용 재료로의 가공률을 높일 필요가 있다”면서

 

“이를 위해 고품질 식품개발을 위한 원재료의 다양화, 가공기술의 표화 기술 수준 고도화, 농축수산물 반가공 소재화 지원을 강화하는 등 정책방향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서울우유 “국내 최고의 젖소 찾는다!”
. 서울우유협동조합(조합장 문진섭)이 오는 17일부터 18일까지 양일간 경기도 안성 농협경제지주 안성팜랜드에서 ‘제11회 서울우유 홀스타인 경진대회’를 개최한다. 서울우유협동조합이 주최하고 서울우유 우유군검정연합회가 주관하는 ‘서울우유 홀스타인 경진대회’는 1997년부터 시작된 낙농가 최대 축제로, 올해 11회째를 맞았다. 국내산 홀스타인 품종 젖소 중 농림축산식품부 젖소 능력검정사업에 참여하고, 유량과 건강 상태가 뛰어난 젖소를 선발해 국내 낙농산업의 우수성을 알리고, 유제품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대회는 60개 농가에서 엄선한 120두의 젖소가 출품돼 국내 최고의 젖소 자리를 두고 치열한 경합을 펼칠 예정이며, 특히 올해 11월 캐나다 ‘로얄 윈터페어 홀스타인 쇼’ 심사를 맡은 조엘 르파쥬 심사원을 초빙하여 심사 전문성을 강화한다. 많은 관람객이 방문하는 낙농가 축제인 만큼 부대행사도 풍성하게 마련했다. 우유, 발효유, 치즈 등 유제품 시식 행사와 함께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도 준비했다. 뿐만 아니라 국내 낙농산업의 기술력을 만나볼 수 있는 로봇착유기, 사료, 첨가제, 낙농기계 등 약 50여개의 낙농기자재 업체 전시회도 열린다. 또한, 낙농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