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정원-세종농촌융복합산업지원센터 지역발전 협약

세종지역 농촌융복합산업과 지역발전을 위한 상생·협력 도모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신명식)과 세종농촌융복합산업지원센터는 23일 세종지역 6차산업화 활성화와 지역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농정원 본원(세종시 조치원읍)에서 진행된 업무협약식에는 신명식 농정원장과 세종농촌융복합지원센터를 위탁운영하고 있는 정윤정 지역아카데미 대표이사가 참석하여 상호발전을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양 기관은 기관별 전문성과 강점을 활용하여 실질적인 상생․협력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계획이다.

 

농정원은 ▲농업전문인력 육성 ▲가치 홍보 ▲첨단 스마트팜 ▲빅데이터 분야별 사업 정보를 공유하고 ▲교육·컨설팅 제공 ▲세종농촌융복합산업 상품 홍보와 신규상품 개발 아이디어 ▲품평회 자문 등을 제공한다.

 

세종농촌융복합센터는 현장농업인의 목소리를 전달하고 농정원의 사업운영 개선 및 발전방향 등에 대해 자문 및 의견을 제시하며 지역발전 아이디어 발굴 및 협력방안 등을 모색해 나간다.

 

신명식 원장은 “개별 농업인이 농촌융복합산업을 통해 농업 부가가치를 높이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농정원이 보유하고 있는 각종 정보와 전문인력, 연계 가능한 사업 등을 활용하여 인증농업경영체들의 어려움을 돕고 성장에 일조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한우자조금 “소 한 마리가 지구를 살린다”
기후위기와 식량 불균형이 전 세계적 과제로 떠오른 지금, 한우산업은 생산의 영역을 넘어 지구 생태의 균형을 지키는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는 한우 명예홍보대사 이명규 상지대학교 스마트팜생명과학과 교수와 함께, 한우를 농업·환경·사회와 연결하는 ‘순환의 축’으로 조명하며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 한우 인식의 전환,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 만들어 한우는 오랜 세월 우리 민족의 삶과 함께해왔다. 농경사회에서는 노동을 돕고, 생의 마지막에는 고기와 가죽, 비료로 인간에게 돌아왔다. 이 순환의 역사 속에서 한우는 사람과 사회, 환경을 잇는 생명 순환 체계의 일부였다.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시작은 ‘관점의 변화’에 있다. 한우를 생산 효율이나 가격 중심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 사회가 맞물린 순환 구조의 핵심으로 인식해야한다. 관점이 바뀌면 행동이 달라지고, 행동이 달라지면 산업의 가치와 방향이 달라진다. 결국 한우를 어떻게 이해하느냐가 한우산업의 지속가능성을 결정짓는 출발점이다. ◆ 자원의 순환, 한우분뇨는 토양을 살리는 생태 자원 관점의 변화는 실천으로 이어진다. 그 첫걸음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