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과수화상병' 확산세 주춤 

발생지역 85% 충주와 제천지역 매몰작업... 과수화상병 발생동향 대책 발표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올해 과수화상병이 6월 23일 현재까지 총 500농가(271.4ha)에서 확진되었다고 밝혔다.

확진된 500농가는 충주 309, 제천 118, 음성 12, 진천 2, 안성 37, 파주 2, 이천 2, 연천 2, 평창 2, 천안 9, 익산 2, 양주 1, 경기 광주 2농가 등이다.

 

5월 말부터 발생하기 시작한 과수화상병은 정점에 달했던 6월 12일 이후 현재까지 감소 추세에 있다.

이번 과수화상병은 충주와 제천 지역 427농가(240.2ha)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였고, 이 두 지역이 전국 발생 농가의 85.4%, 면적은 88.5%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매몰작업은 431농가(239.3ha)가 완료되어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특히, 충주지역은 전체 309농가 중 277농가를 매몰 완료하여 농가 수 대비 90%의 진행율을 보이고 있으며, 나머지도 최대한 빨리 완료할 계획이다.

 

한편, 농촌진흥청은 “과수원 사과나무의 5% 이상 증세가 나타났을 때 신고하라는 방제 기준 때문에 말도 못 했다.”라는 일부 보도내용에 대해, 농가는 한 주만 이상증상을 발견해도 신고를 하는 것이고, 농가에서 발생주율이 5%가 될 때까지 고의로 신고를 미루는 것은 5백만 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와 손실보상금 감액 지급 대상이 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과수화상병이 한 주만 발생하여도 농장 전체를 매몰하던 것을, 기존 발생 지역에서는 발생주율이 5% 미만인 경우에는 발생주만 제거하는 부분선별적인 방제로 기준을 변경하였다.

이는 과수산업 유지와 방제피해 최소화를 위한 것으로 금년부터 처음 적용하는 것이다.

 

다만, 신규 발생지역의 경우는 청정지역 유지에 초점을 두고 선제적 방제를 추진하는데, 병이 발생한 해당 농장은 매몰하고, 주위 100m 내의 사과․배 농장도 추가 발생이 확인될 경우 매몰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과수화상병 관련 현장연구를 강화할 계획이다.

현재 병이 발생한 충주지역 포장에 격리시설을 설치하고 나무 주사 방제효과, 방제약제 선발, 매몰지 병원균 존재여부 등에 대한 연구를 추진하며, 화상병 발생주가 5% 미만 이어서 발생주 만을 부분제거한 농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병의 확산 여부와 지속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지를 조사할 계획이다.

 

지금까지는 병 발생 즉시 매몰처리 함으로써 현장 연구의 한계가 있었으나, 부분 매몰이 가능하도록 제도를 개선한 만큼 실효성 있는 현장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은 과수화상병 예찰과 방제의 효율성을 높이고 그동안 방역과정에서 제기된 사안에 대해 제도개선을 추진하기로 하였다.

 

우선, 현재의 발생 및 방제 추진상황을 공유하고 전문가와 지자체의 의견 수렴을 위하여 6월 25일 농작물병해충 예찰방제대책회의를 개최하기로 하였다.

 

예찰방제대책회의를 통하여 과수화상병 예찰, 방제와 관련한 농가의 책임과 역할을 강화할 수 있도록 농가가 중심이 된 예찰제도 마련과 교육방안, 그리고 신고의무 등에 대해 논의하게 된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