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열대거세미나방' 유충 첫 발생

전북 김제‧경남 고성 옥수수 포장서 발견…전년보다 3주 빨라 농가 정밀예찰 당부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전북 김제시 금산면과 경남 고성군 고성읍, 거류면에 소재한 옥수수 재배포장에서 1~3령의 열대거세미나방 유충(애벌레)으로 인한 작물 피해가 올해 처음 발생했다고 밝혔다.

해당 유충은 각각 전북농업기술원(25일 발견), 경남농업기술원(26일 발견)이 실시한 열대거세미나방 예찰 과정에서 발견됐다.

 

 

지난해 6월 13일 제주에서 열대거세미나방 유충이 발견된 것과 비교하면 3주정도 빨리 출현한 상황이다.

열대거세미나방 피해가 발생한 김제(재배면적 0.13ha)와 고성(재배면적 0.5ha)의 피해주율(100주당 발생주율)은 모두 1% 이하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올해 열대거세미나방 발생 시기가 전년보다 빠르고 2개 시‧군에서 피해가 확인됨에 따라 ‘열대거세미나방 예찰‧방제 매뉴얼(지침)’에 의거 해 27일자로 발생상황을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 조정했다.

피해가 발생한 옥수수 재배지에는 해당지역 농업기술센터가 방제지도 및 긴급 방제를 실시했다.

 

지난 7일 제주시 한림읍에서 올해 첫 열대거세미나방 성충이 발견된 뒤 내륙에서 유충까지 확인됨에 따라 현재 국내에 상륙한 열대거세미나방은 산란과 부화 과정을 마쳤고, 앞으로 옥수수 등 벼과 작물에서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농촌진흥청은 서남해 지역(충남, 전북, 전남, 경남 지역) 등 내륙지역 옥수수 재배지에서도 열대거세미나방 유충이 발견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고 농업인들의 각별한 예찰을 당부했다.

5월에 날아와 국내에서 번식한(6월 중하순) 개체군과 지속적으로 중국에서 날아오는 성충 등에 의해서 늦게 심은 옥수수와 2기작 옥수수 등에서는 8∼9월까지도 피해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열대거세미나방 발생에 따른 피해 최소화를 위해 발생지역 농업기술센터와 함께 방제작업 지도와 농업인 대상 문자 발송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열대거세미나방 방제를 위한 약제는 플루벤디아마이드 유제, 인독사카브 액상수화제 등 27개 작물에 284품목이 등록되어 있으며, 농사로 홈페이지의 ‘농자재’-‘농약’-‘농약등록현황’에서 확인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재해대응과 정충섭 과장은 “열대거세미나방은 가능한 빨리 찾아내 초기(애벌레 2∼3령)에 방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므로 옥수수 등 벼과 작물을 재배하는 농가는 적극적인 예찰과 신고를 당부 드린다.”라고 말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