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꽃 소비 촉진...각종행사 잇달아 취소로 소비위축 극심

공공부문을 시작으로 민간부문까지 꽃 소비촉진 참여 분위기 확산키로

주로 꽃다발용으로 사용되는 주요 절화류 가격은 2월 21일 양재 공판장 도매 기준으로 장미 10,554원/단, 프리지아 1,424원, 안개 7,849원, 금어초 1,493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는 코로나19 영향으로 감소했던 화훼 소비를 활성화하고자 지난 14일 ‘화훼 소비 촉진 방안’을 마련하여 발표한 바 있다.

정부․공공기관이 먼저 꽃 구매를 통한 수요 창출에 적극 나섰고 지자체와 민간부문도 화훼소비 활성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농식품부, 소속․산하기관, 농협 등 유관기관 21개 기관은 2월 21일 현재까지 71만 송이를 구매하고 화훼 소비확대 분위기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농식품 기관들은 건물 내 중대형 화훼장식을 설치하고, 사무실에 화병을 비치하는 꽃 생활화(1Table 1Flower, 1T1F) 운동을 적극 추진하면서 화훼 소비 수요 창출 뿐만 아니라 근무 여건 개선에도 기여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지역내 꽃 소비 생활화 운동을 확산하기 위해 전주상공회의소와 함께 꽃 선물 이어가기(릴레이)에 동참하고 있다.

지자체도 화훼 소비 활성화를 위해 12만송이의 화훼를 구매함으로써 지역 내 화훼소비를 확대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사무실 꽃 생활화는 물론 직거래 장터 및 꽃 소비 이어가기(릴레이) 행사 등을 추진하고 있다.

공공부문에 발맞추어 대기업 등 민간부문에서도 화훼 소비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나타나고 있다.

 

삼성그룹은 지난 13일 ‘꽃 소비 늘리기’에 동참하겠다는 발표를 한 바 있고, 실제 삼성전자 수원사업장은 인근 화원(꽃 소매점) 40~50개소를 활용하여 회의실 등 1,500여 곳에 주1회 꽃을 배송받기 시작했다.

신한은행은 동료 직원에게 이어가기(릴레이) 방식으로 꽃 선물을 전하는 ‘꽃다발 이어가기(릴레이)’와 영업점 방문 고객들에게 ‘장미꽃 증정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농협은행도 농협차원의 화훼장식 구매와는 별도로 2월 12일부터 농협 고객을 대상으로 꽃다발 선물행사를 진행 중에 있다.

또한, 그랜드 인터컨티넨탈과 코엑스 인터컨티넨텔을 운영하고 있는 파르나스호텔(주)과 쉐라톤 팰리스, 롯데호텔에서도 호텔 내 로비, 공용 구역 등에서의 화훼류 소비를 확대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코로나19에 대응한 화훼 소비 촉진과 더불어 이러한 분위기가 꽃 생활문화로 지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계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앞으로 공공부문은 물론 준공공기관과 민간기업 등의 꽃 소비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이러한 노력이 일반 가정에서 꽃 생활화 확산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방역본부, ‘AI챔피언 1호 배출’ 공공부문 AI 선도를 위한 기반 마련!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본부장 김태환)는 행정안전부가 주관한 AI 활용역량 인증 평가에서 ‘위생방역본부 소속 AI챔피언 1호’를 배출했다고 밝혔다. ‘AI챔피언’은 행정안전부가 2030년까지 공공분야 AI전문가 2만명 양성을 목표로 추진중인 제도로, AI를 활용해 정책 및 행정 서비스를 설계·실행할 수 있는 실무형 전문 인재를 인증하는 제도다. 올해 시범운영된 AI챔피언 역량 인증자는 전국 공무원 및 공공기관 직원 중 단 195명이며, 이중 농·축산업 분야는 4명이다. 위생방역본부는 현재 가축방역, 축산물위생검사, 민원·행정처리 고도화 등 대국민 서비스 강화를 위해 사업 전반에 걸쳐 AI 도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번 AI챔피언 1호 배출은 위생방역본부의 AI 전문인력 양성 노력이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성과로 평가된다. 위생방역본부 김태환 본부장은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는 방역·예찰·검역 등 국가 필수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으로서, AI 기술은 더이상 선택이 아닌 행정 서비스 품질을 좌우하는 핵심 역량이다.”라면서, “앞으로도 현장 중심, 데이터 기반, 실효성 있는 AI 행정을 구현하기 위해 직원 교육과 제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겠다.”라고 밝혔다. 나남길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팜스코, ‘2025 경남 양돈 전략세미나’ 성료
㈜팜스코(대표이사 김남욱)는 지난 10월 30일 진주 제이스퀘어호텔에서 ‘2025 팜스코 양돈 전략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경남 지역의 양돈 농가 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팜스코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지속 가능한 양돈산업의 미래 전략을 공유하는 뜻깊은 자리로 진행됐다 첫 순서로 장원구 양돈팀장은 ‘양돈시황과 전략’을 주제로 2025년 돈가 형성 요인을 국내 공급·수입·소비 측면에서 분석하며 현황을 정리했다. 그는 “공급 부족으로 인한 고돈가 기조가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전망”이라며, “이러한 시황 속에서 모돈 갱신에 대한 투자와 후보돈·대군농장을 중심으로 한 순종모돈 공급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2026년 다산성 모돈의 연산성과 순종모돈 관리 강화를 위해 팜스코의 등지방 측정 캠페인을 소개하고, 솔루션 시리즈의 마지막 퍼즐인 ‘솔루션M’의 특장점과 접목 필요성을 강조했다. 홍승범 지역부장은 ‘팜스코와 함께하는 탄소중립’을 주제로 발표를 이어갔다. 그는 탄소중립 정책의 흐름과 저탄소축산물 인증 제도를 설명하며, 단순한 인증 참여를 넘어 실질적인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위한 질소저감 사료의 역할을 강조했다. 또한 팜스코의 ‘질소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