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마사회 '내홍' 잠잠해질까(?)...'외부마사제' 도입해 경주마사 운영혁신 기대

한국마사회 김낙순 회장, 경마제도 개선 즉시 착수해 경마 운영 혁신에 째찍질 
경마제 어떻게 고쳐지나?...경마상금 양극화와 승자독식 구조 개선-1일 기승횟수 제한-외마사 제도 도입 등 개선

한국마사회(회장 김낙순)가 상금구조 개선 등 3개 과제를 내년 1월부터 즉시 시행하기로 결정했다. 

부산에서 발생한 기수 사망사고와 관련해서도 경찰수사 결과에 따라 엄정히 대처하겠다고 재차 입장을 전했다. 

 

이에 앞서 마사회는 기수 사망사고를 둘러싼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사고 직후, 관련된 내용 일체를 경찰에 수사 의뢰한 바 있다.

 

이번 제도개선과 관련하여 김낙순 회장은 “한국경마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려던 노력이 경마와 말(馬)산업 전반에 일정부분 기여한 점은 사실이나, 경쟁심화에 따른 부작용도 이제는 면밀히 검토해봐야 될 때”라며, “관계자뿐 아니라 고객과 함께 낡은 제도와 관행을 바꾸고 동반성장·상생할 수 있는 미래 성장 기반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마사회는 최우선으로 승자독식의 상금구조 개편을 단행하기로 했다. 1위 순위상금 비중을 조정하여 중․하위권 경주마 관계자들에게 상금을 재분배함으로써 상금편중 현상을 완화하려는 것이다.

 

기승제한 시스템도 운영한다. 

승률이 중하위권인 기수의 기승(경주마에 올라 경주에 출전)횟수를 보장하여 상위권 기수의 부상 방지와 기승독점을 막고, 모든 기수의 안정적인 선수 활동을 보장하려는 것이다.

 

특히, 부산경남경마공원(이하 부경)은 경마시행규모 등을 고려하여 1인당 1일 7회로 기승횟수를 제한하여 중하위권 기수의 소득 안정성을 더욱 높일 방침이다. 

현재 부경은 조교사, 기수 등 경주마관계자의 자율적 협의가 있을 시 특정기수가 당일 모든 경주에 기승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사회는 또, 외(外)마사 제도도 최초로 도입한다. 

조교사 면허를 보유한 자가 경주마 훈련 및 관리가 가능한 외부마사를 확보하여 조교사 개업을 희망할 경우 경주출전을 허용하는 제도다. 

면허 취득 이후 조교사로 개업하기까지의 대기기간이 길다는 점과 심사과정 및 결과의 시비를 해결하기 위해서다.

 

지금까지는 서울과 부경 등 경마공원 내에서의 조교사 개업 및 활동만을 허용하고 있었기에, 조교사 자리가 가득 찼을 경우 면허보유자가 신규로 개업하기 어려웠다.

 

마사회는 한국경마 70여년 만에 처음으로 외부 마사제도를 도입, 경주마 마사운영 제도를 혁신하겠다는 것이다. 

조기에 제도가 도입될 수 있도록 발생 가능한 문제점에 대해 조교사, 기수 등 경마관계자 등의 의견 수렴을 통해 시행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마사회는 기수의 안정적인 소득을 보장하기 위해 조교료(경주마 훈련비) 상향, 조교 전문기수 활성화, 전직(轉職)지원 확대 등을 골자로 하는 경마제도 개선방안을 내년 1월부터 전면 시행할 계획이다.  

 

김낙순 회장은 ”故 문중원 기수 사망에 깊은 애도의 마음을 전하면서, 이번 제도개선을 통해 경마팬과 경주마관계자, 마사회가 협력하고 재도약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경찰 수사 중인 경마불공정 의혹과 관련해서도 ”경마공정성 확보, 고객 보호 측면에서도 간과할 수 없는 중대 사안“이라며, 경찰 수사에 적극 협조하여 조속한 시일 내 진상을 밝히고, 의혹이 사실로 들어날 경우 책임자와 관련자를 엄정히 처벌하겠다”고 강조하고 있어 마사회 움직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정부 양곡 2.5만톤 추가 방출... 15일까지 물량신청 서둘러야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쌀 수급 안정을 위해 정부양곡(벼)을 추가로 2.5만 톤(정곡) 공급한다고 밝혔다. 지난 8월 25일부터 공급한 정부양곡 3만 톤의 판매 현황을 조사한 결과, 9월 5일까지 2주 동안 공급 물량의 절반 이상을 판매 완료하였고, 잔여 물량 또한 2주 내외 공급 가능한 물량으로, 햅쌀(중만생종)이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10월 중순까지 지역에 따라 1~2주일간의 원료곡이 부족한 상황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올해 조생종 수확 시기에 잦은 비로 인한 조생종 출하가 늦어져 구곡에 대한 산지유통업체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농식품부는 이번에 추가로 2.5만 톤(정곡)을 공급하여 산지유통업체의 원료곡(벼) 확보 애로를 충분히 해소하여 쌀 수급 안정을 도모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번 정부양곡 공급 대상은 ’24년 정부 벼 매입자금 지원 대상인 산지유통업체와 연간 매입물량이 3천 톤 이상인 임도정업체(이하 대상업체)이다(지난 8월 3만 톤 정부양곡 대여 공급대상과 동일). 대상업체 중 정부양곡 공급을 희망하는 업체는 농협경제지주 공지에 따라 9월 15일까지 희망 물량을 제출하면 된다. 대상업체의 전년도 쌀 판매량 비중을 감안하여 대여 물량이 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