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어촌공사 "주민주도형 어촌 성장 위해 노력할 것"

농어촌공사, 어촌 지역개발 활성화를 위한 담당자 점검회의 개최

 

한국농어촌공사(사장 김인식)는 최근 어촌이 있는 8개 지역본부와 34개 지사 부장과 담당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어촌 지역개발 활성화를 위한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어촌은 수산업의 쇠퇴와 함께 청장년층이 이탈하면서 인구감소와 노령화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해양수산부는 올해부터 어촌의 혁신성장을 돕는 지역밀착형 생활사회간접자본사업인 어촌뉴딜300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농어촌공사는 2019년 대상지 70개소 중 경북 포항 신창2리항, 경주 수렴항 등 10개소를 지자체로부터 위탁받아 추진 중에 있다.

 

특히, 공사가 추진해온 농어촌 지역개발사업과 새만금 방조제와 같은 대규모해안시설을 설치한 경험 등은 낙후된 어항을 현대화하고 관광 인프라를 활용한 자생력을 키워 지역 재생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날 열린 담당자 회의에서는 현재 추진 중인 지구에 대한 우수 사례를 공유하고, 지역별로 당면한 문제점과 현안사항에 대해 토론하며 개선대책이 논의됐다.

더불어 지역이 주도하고 지역의 특성을 살리는 성공적인 어촌성장을 위해서는 사업 추진과정에서 주민·지자체·전문가가 하나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공사 역할의 중요하다는데 공감했다.

 

김인식 사장은 “주민 스스로 공동체의 삶을 바꿔나갈 수 있도록 참여를 늘리고 머리를 맞대어 논의하고 실현해 갈 수 있도록 공사가 서포트타워 역할을 충실히 해 어촌이 가진 성장 잠재력을 최대한 확장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강성수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