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팜스코 '우둥TMR' 1만톤 달성!

국내 최대 팜스코TMF 명작 1만톤 생산기록 세워 주위 놀라게해
우둥 TMR 나주에 둥지틀고 팜스코와 약 10년간 OEM사업 지속
팜스코, 우둥 TMR 1만톤 달성하고 기념식 행사 가져

팜스코(대표이사 정학상) 사료사업본부는 7월 26일 우둥TMR 공장에서 팜스코TMF명작 1만톤/월 생산 달성을 기념하고 우둥 TMR 공장의 대업을 기리는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팜스코 정학상 대표이사가 참석한 가운데, 공장내부시찰과 1만톤기념식수 및 감사패 전달 순으로 진행되었다.

 

국내 최대 TMF 생산량을 기록하고 있는 우둥 TMR은 2010년 전남 나주에서 터를 잡은 후 팜스코와 약 10년간 OEM 사업을 지속해 오고 있으며, 0톤부터 월 생산량 1만톤 생산에 이른 현재까지 끈끈한 파트너 쉽을 맺어가고 있다. 

 

이날 본 식순을 진행하기 앞서, 우둥 TMR 공장내부를 윤태수대표가 직접 정학상대표이사 및 임원진들에게 소개하는 시간을 가지면서, 1만톤을 생산하면서 제품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최선책은 “생산 자동화와 All 스테인레스로 제작된 청결한 설비유지” 라는 것을 강조 설명했다.

이 행사의 메인이벤트는 1만톤 기념 식수였다. 아직은 아담한 식수행사 소나무가 우둥TMR 공장과 함께 푸르름을 간직하고 오랫동안 우뚝 솟을 수 있기를 모두가 염원했다.

 

팜스코 정학상 대표이사는 감사패 전달 후 축하인사말을 통해 “우둥TMR공장이야 말로 팜스코와함께 대한민국 한우사업의 발전에 큰 획을 그은 선봉장이라 높이 평가하였고, 결국 농가들의 소득을 증대시켜주는 역할의 주춧돌로써, 앞으로도 더 굵고 길게 번창하길 바란다”고 하였다.

 

이에 윤태수 대표는 “ 축산학도로 이 어려운 축산업에 입문하여 여러 차례의 고난과 역경을 겪고 누린 영광이라 훨씬 더 감격스럽고, 200톤부터 1만톤생산까지 우둥 TMR 공장의 성장동력이 되어주신 팜스코와 제품을 인정해 주시는 농가사장님들께 감사함이 크다. 앞으로도 초심을 잃지 않고 한우농가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도록 하겠다” 라고 다짐 했다. 오현승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