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치유•여행

과일 '간식지원'... "예산 전액삭감이 웬말이냐!" 졸속행정에 농가들 분통

- 한국과수농협연합회 긴급성명 발표... 아이들 '과일간식지원사업’ 반드시 내년 예산반영 촉구
- 생산농가도 도움되고 아이들 건강에도 도움되는 국산 과일소비 촉진
- 과일 간식지원사업 의견... 학부모 92% 높은 만족도와 전체학년 확대의견도 91.9%
- "문재인정부가 약속한 안전한 먹거리 보장과 국내 농산물 수요 확대 방안, 국회에서 반드시 관철해야"

아이들 과일 간식지원사업 예산이 전액 삭감되는 졸속행정으로 농가들이 분통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한국과수농협연합회는 아이들 '과일간식지원사업’에 반드시 내년 예산반영에 촉구하는
긴급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서 전문이다.

우리나라 어린이와 청소년의 비만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비만은 식생활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어릴적부터 익숙해진 서구식 식습관과 인스턴트 음식, 육식 습관으로 인하여 발생한 아동비만은 당뇨, 고혈압 등 성인병에서 주로 나타나는 질환의 조기 발현으로 어린이, 청소년들의 여러 가지 건강한 일상을 방해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비만율이 지속 증가함에 따라 어린이의 식습관을 개선하고 균형 잡힌 식생활을 통한 건강증진을 도모하고자 초등돌봄교실을 대상으로 과일 간식을 지원사업을 해왔다. 문재인 정부가 약속한 농정틀 근본 전환을 위한 특단 대책으로 국민의 안전한 먹거리 보장과 국내 농산물 수요 확대 방안으로 2017년부터 과일 간식 지원사업을 도입하여 4년간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이 사업이 2022년 사업비 전액 삭감이라는 어처구니없는 예산부처의 결정에 한순간에 사라질 예정이다.

과일 간식 지원에 대하여 학부모들은 92%의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학생의 건강증진과 식습관 개선을 위해 필요하다는 의견이 96%, 초등돌봄교실 뿐 아니라 전체학년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도 91.9%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학부모는 가정이 아닌 학교에서 아이들에게 제철 과일을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과 혼자서는 과일을 잘 먹지 않는 아이도 선생님 지도하에 또래 친구들과 함께 과일 간식을 즐기면서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 인해, 학부모 절대다수가 높은 만족도와 필요성에 공감하고 전 학년 확대에 찬성하고 있다.

또한 과일 간식을 제공받은 초등학생도 과일 간식을 계속 원한다는 답변이 90.2%이며 과일 맛은 좋거나 보통이 92.6% 과일 양은 적당·많음이 86.3%로서 긍정적인 반응이었으며 과일 간식을 지원받은 돌봄 어린이의 ‘국산 과일 섭취 빈도’와 ‘국산 과일 선호도’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내년도 국가 전체 예산을 역대 ‘초슈퍼예산안’으로 대폭 확대하는 상황에서 아이들한테 건강한 먹거리를 주는 것에 대해서는 전혀 예산편성을 안하고 ‘과일 간식 지원사업비’ 전액 삭감이라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는 졸속행정이라고밖에 볼 수 없다.

수입 개방에 따른 외국산 과일 수입 급증, 국산 과일 소비 감소, 가격 급등락, 인건비·자재비 폭등, 화상병 발생 등 생산자들의 위기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미래의 희망마저 짓밟아버리는 행정이 이제는 되풀이되지 않도록 특별한 조치가 필요한 시점이다.

20만 과수 농업인은 “과일 간식 지원사업”이 계속하여 지원될 수 있도록 국회에서 관철되도록 강력히 촉구하고 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