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조사료 발효건초 '옥사건'... "흡수율 탁월! 미생물 풍부"

(주)하농 "발효로 기호성 좋고! 영양과 흡수율 좋고! 가격까지 저렴한 '옥사건' 건초 추천"

- "연맥이나 티모시 등 건초 구하기 힘드시죠!"

- '옥사건' 티모시나 연맥보다 흡수율 93%로 월등히 높고 유산균과 고초균, 효모균 등 미생물 풍부

 

축산농가들이 연맥이나 티모시 등 건초의 가격이 오르고 구하기도 힘들어 하는데 이런 고민을 덜어 주기 위한 대체 건초로 ‘옥사건’(옥수수사일리지건초)이 농가들로부터 인기를 끌고 있다.

 

 

㈜하농에서 야심차게 준비하여 공급하고 있는 혁신형 발효건초인 ‘옥사건’이 소에게 급여해 본 농가들로부터 옥수수사일리지의 장점을 그대로 살려 건초로 만들었다는 호평들이 이어지고 있다.

 

축산농가들이라면 옥수수사일리지가 좋다는 것은 누구나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직접 생산하려면 토지나 장비 등 생산비가 많이 들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렇다고 외국에서 옥수수엔실리지를 수입해 오기에는 수송비가 높고 농가에서 한 번 개봉하면 부패가 일어나 제한사항이 많았다. 이번에 (주)하농에서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한 것이 바로 옥수수사일리지 건초인 ‘옥사건’ 제품이다.

 

옥사건은 세계 굴지의 건초 기업인 스페인의 ALDAHRA에서 제조하고 원료는 사료용 옥수수를 현지에서 재배하여 영양 절정 상태인 황숙 초기에 옥수수대와 알곡 전체를 수확하여 발효, 분쇄, 건조 등의 정밀한 공정을 거쳐 만든 고급 옥수수사일리지 발효건초이다.

 

 

옥사건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티모시나 연맥 등 고가 건초를 대체하는데, 가장 적합한 건초로 주목받고 있다. 티모시나 연맥보다 흡수율이 93%로 월등히 높고 유산균과 고초균, 효모균 등 미생물이 풍부하며 발효향이 미각을 돋구어 기호성도 뛰어나기 때문이다.

 

섭취량이 늘어 유량증가와 성장촉진 등의 효과가 있으면서도 가격까지 저렴해서 사료비 원가절감과 축산물 품질향상에도 도움이 기대된다.

 

옥사건의 성분은 △수분 10.57% △조단백 8.96%(가소화 단백이 90%) △조섬유21.82% △조회분 7.41% △NDF 46.80% △ADF 28.16% △상대적사료가치 133 △젖산( 병원균과 유해세균의 생육을 억제) 5% △초산 (지방합성)0.33%  △유산균 3.0×10^5 △고초균2.0×10^6 △효모 등이 함유되어 있다.

 

 

옥사건의 입자도는 2~5cm이고 베일의 중량은 약 500kg 랩포장 제품으로 택배 배송이 가능하다.

하차작업시 가루가 발생하여 유실되는 것을 랩핑작업을 통해 방지하였다.

 

(주)하농은 "지속 공급해 드릴 것을 약속드리며 공급가격은 광양상차도 450원으로 티모시나 연맥에 비해 훨씬 저렴하다. 알팔파 펠릿 등 다른 건초와 함께 주문도 가능하다."고 '옥사건' 건초를 축산농가에 추천하고 있다.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aT, ‘맛ㆍ향ㆍ색의 완벽조합’ 신품종 K-포도에 탄성 쏟아져!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17일 미국 뉴욕 맨해튼 소재 버진호텔에서 ‘프리미엄 신품종 K-포도 런칭쇼’를 개최하고, 한국산 고품질 신선포도의 북미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이번 행사는 미국과 캐나다 등 북미지역에 한국산 신품종 포도의 수출확대와 시장다변화를 위해 마련된 자리로, 미국 내 주요 수입바이어, 대형 유통업계와 식품업계 관계자, 인플루언서 등 8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장에서는 주 수출품목인 샤인머스캣을 비롯해 최근 개발된 글로리스타, 코코볼, 홍주씨들리스, 슈팅스타 등 한국의 프리미엄 신품종 포도가 미국 시장에 첫선을 보였다. 참석자들은 다양한 색과 맛은 물론 깊은 풍미를 지닌 K-포도와 이를 활용한 고급 에피타이저 2종과 디저트 3종이 등장하자 탄성을 자아내며 연신 호평을 쏟아냈다. 이날 행사에 초대된 수입바이어 ESU 팜의 다니엘 리 이사는 “미국 소비자들은 씨가 없고, 아삭한 식감의 껍질째 먹는 스낵형 포도를 선호한다”라며 “오늘 소개된 신품종 포도는 맛과 향, 식감 등이 매우 우수해 현지에서 충분히 통할만한 시장성과 경쟁력을 갖췄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현재 미국 내 생식용 포도시장에는 캘리포니아산과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