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국내 양돈농민 대상, ‘한-네덜란드 양돈모델팜 웹 세미나’ 무료 개최

농민들에게 소중한 경험과 지식 아낌없이 공유...온라인에서 열린다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신명식)은 농협경제지주 축산경제(대표이사 김태환), 네덜란드 와게닝겐연구소와 공동으로 ‘한국-네덜란드 협력 양돈모델팜 오픈데이 웹 세미나’를 9일, 16일, 23일 총 3회에 걸쳐 온라인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국내 양돈농가의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되었으며 3일 동안 온라인에서 매회 15시부터 16시 50분까지 진행된다.

 

1회차인 9일에는 네덜란드 양돈경영 전문기업 아그리시스트(AgriSyst)의 마크 콕스(Marc Cox) 대표와 한국의 양돈연구소장을 역임한 안기홍 컨설턴트가 강사로 나서 ‘데이터기반 농장경영과 적용사례’를 주제로 강연할 예정이며,

 

2회차인 16일에는 네덜란드 엠에스 스키퍼(MS Schipper)의 Hycare 담당실장인 마트 스몰더(Mart Smolder)와 농협경제지주 종돈개량사업소의 문성호 수의사가 ‘농장 차단방역을 위한 한-네덜란드 경험 공유’라는 주제로 양국의 농장 차단방역 모범사례 등 소중한 경험을 나눌 계획이다.

 

3회차인 23일에는 ‘스마트돈사관리를 통한 생산성 강화’라는 주제로 양돈농민들에게 스마트 ICT 시설을 활용한 과학적 양돈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대미를 장식하게 된다.

 

특히 네덜란드의 선진 양돈시설을 갖춘 양주 이레농장의 이정대 실장과 해당 농장의 시설 구축을 담당했던 네덜란드 팬컴(Fancom)사의 마크 얀센(Mark Janssen) 아시아 담당이사가 강연에 나서 ‘한-네덜란드 공동 프로젝트의 모델팜’인 이레농장의 최신 시설을 공개하며 농민들에게 소중한 경험과 지식을 아낌없이 공유할 예정이다.

 

본 행사는 양돈농장을 경영하거나 근무하고 있는 국내 양돈농민들을 대상으로 무료로 개최되며 사전 참석신청을 한 경우에 한해 초청링크를 통해 참여할 수 있다. 참석을 희망하는 양돈농가는 농정원 국제협력실 또는 농협경제지주 양돈팀에 문의하면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장철이 국제통상협력처장은 “양국 최고의 양돈전문가들이 원격 참여를 통해 수준 높은 강연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양돈농가의 참여를 당부하였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해썹인증원, 미생물 실험실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재인증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제’에서 지난달 미생물 실험실의 재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번 재인증으로 해썹인증원의 미생물 및 이화학 실험실이 모두 ‘안전관리 우수연구실’로 계속 지정되며, 연구실 안전관리 역량과 체계적인 운영 수준을 다시 한번 인정받았다.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국내 대학과 연구기관의 연구실 안전수준을 높이고, 표준 모델을 확산하기 위해 운영하는 제도이다.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안전환경 시스템(30점) ▲안전 활동 수준(50점) ▲안전관리자의 안전의식(20점) 등 주요 항목에서 80% 이상의 점수를 얻고, 현장심사와 심의 절차를 통과해야 한다. 한편, 해썹인증원은 2023년 시범운영을 시작으로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견학 프로그램’을 통해 연구실 안전문화 확산에도 앞장서고 있다. 2024년부터 2025년까지 2년간 총 10개 기관, 59명(학생, 각 기관 안전관리 담당자, 민간시험기관 등)을 대상으로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연구실 안전관리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비상 대응 훈련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연구현장의 실질적인 안전 역량 향상과 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대아청과, 제주 월동채소 경쟁력 강화 현장 간담회 개최
서울 가락시장 대아청과(주) (대표이사 이상용)는 11월 3일과 5일 제주 월동채소 생산자들을 대상으로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가락시장 대아청과 경매 현장에서 열린 이번 간담회에서는 본격적인 출하 시기를 앞둔 제주 월동채소의 작황과 현장의 어려움을 청취하고, 최근 품목별 거래 동향, 농산물 소비 트렌드, 선별 방법 등을 공유하며 제주 농산물의 판매 활성화를 위해 머리를 맞댔다. 간담회에는 제주 한림읍 양배추 생산자협의회 25명과 성산읍 무 생산자협의회 4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채소2동 경매 현장을 둘러본 뒤, 우수품 기준과 월동채소 출하시기 등 농산물 유통 전반에 대한 정보를 공유했다. 이상용 대표는 “제주 농산물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청정 제주의 이미지를 농산물에 접목한 상품화 과정을 통해 우수한 제주 농산물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것과 소비자가 원하는 시기에 필요한 양의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대아청과는 산지에서 필요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며, 제주 농산물의 판매 활성화와 경쟁력 제고에 적극 협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아청과는 지난 7월 제주 농업현장을 방문해 비료, 농약, 포장재 등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