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가락시장, 8월 1일 하계휴장 ‘출하유의’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강서시장과 양곡시장은 7월 25일 휴무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사장 김경호)는 여름철을 맞아 가락시장과 강서시장 등 농수산물도매시장 하계휴무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가락시장의 청과시장 중 채소부류는 7월 30일(목) 저녁 경매를 끝으로 휴장했다가 8월 2일(일) 저녁 경매부터 다시 개장할 예정이며, 과일부류는 7월 31일(금) 아침까지 경매가 열리고 8월 3일(월) 새벽부터 경매가 재개된다.

 

가락시장 수산시장 중 선어, 패류부류는 7월 31일(금) 새벽까지 경매가 열리고 8월 2일(일) 저녁 경매부터 다시 시작될 예정이며, 건어부류는 7월 28일(화) 아침까지 경매가 열리고 8월 3일(월) 새벽 경매부터 재개된다.

 

 

강서시장의 경우 채소부류는 7월 23일(목) 저녁 경매를 끝으로 휴장했다가 7월 26일(일) 저녁 경매부터 다시 개장할 예정이며, 과일부류는 7월 24일(금) 아침까지 경매가 열리고 7월 27일(월) 새벽 경매가 재개된다. 강서 시장도매인제는 7월 24일(금) 18시까지 거래되며, 7월 26일(일) 18시부터 거래가 재개된다. 또한 양곡도매시장은 7월 25일(토), 1일간 휴장한다.

 

김원필 공사 유통본부장은 “산지 출하자께서는 가급적 하계 휴무일을 피해 농수산물을 출하하시기 바라며, 휴무일에 출하가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는 사전에 도매시장법인에 연락하여 정가수의매매 방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고 밝혔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한우자조금 “소 한 마리가 지구를 살린다”
기후위기와 식량 불균형이 전 세계적 과제로 떠오른 지금, 한우산업은 생산의 영역을 넘어 지구 생태의 균형을 지키는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는 한우 명예홍보대사 이명규 상지대학교 스마트팜생명과학과 교수와 함께, 한우를 농업·환경·사회와 연결하는 ‘순환의 축’으로 조명하며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 한우 인식의 전환,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 만들어 한우는 오랜 세월 우리 민족의 삶과 함께해왔다. 농경사회에서는 노동을 돕고, 생의 마지막에는 고기와 가죽, 비료로 인간에게 돌아왔다. 이 순환의 역사 속에서 한우는 사람과 사회, 환경을 잇는 생명 순환 체계의 일부였다.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시작은 ‘관점의 변화’에 있다. 한우를 생산 효율이나 가격 중심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 사회가 맞물린 순환 구조의 핵심으로 인식해야한다. 관점이 바뀌면 행동이 달라지고, 행동이 달라지면 산업의 가치와 방향이 달라진다. 결국 한우를 어떻게 이해하느냐가 한우산업의 지속가능성을 결정짓는 출발점이다. ◆ 자원의 순환, 한우분뇨는 토양을 살리는 생태 자원 관점의 변화는 실천으로 이어진다. 그 첫걸음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