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약용 밭작물 ‘향부자’ 간척지 재배 길 열었다

농기평, 무전력·자동급수시스템 도입으로 쌀 대비 농가소득 3배 높아
오병석 농기평 원장 “고부가가치 작물 저비용 재배기술 개발로 소득향상 기여할 것”
약용작물 ‘향부자’ 생산량 600톤에서 126톤으로 감소

지속적인 쌀 수요 감소에 따라 정부는 ‘중장기 쌀 수급 안정 대책’을 수립하고 간척지 벼 재배 면적의 1,000ha 정도를 타작물로 전환하는 데 힘쓰고 있다.

 

국내 간척 농지 중 80% 이상이 벼 재배에 활용되고 있어 벼와 중복되지 않는 밭작물이나 사료작물로 토지를 전환하는 등 다양한 활용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하지만 간척지는 염분 농도가 높아 작물 생육에 부적합한 환경이고 전력 공급 설비가 미비하다.

간척지에서 벼 이외에 부가가치가 높은 밭작물을 안정적으로 재배하기 위해서는 환경적인 제약을 극복하는 새로운 기술 개발이 필요했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와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은(원장 오병석) ‘첨단생산기술개발사업’을 통해 2016년부터 지난 3년간 ‘간척농지에서의 ICT 생체정보를 이용한 기능성 작물 재배 신기술 개발’을 지원한 결과, 간척 농지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작물인 향부자 재배에 성공하였다.

 

향부자는 내염성이 높은 품종으로 해변 모래땅에 서식하며 부인병에 효과적인 고부가가치 약용작물이다.

현재는 재배지 감소로 생산량이 급격히 감소하여 2010년 이후 약 600톤이던 것이 126톤으로 줄었다.

 

이번 연구를 주관한 충남대학교 박종석 교수 연구팀은 “일사량에 비례하여 작물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급수 시스템을 개발하여 기존에 간척농지에서 재배하던 벼 대신 고부가가치 약용작물인 향부자 재배가 가능하도록 하였다”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개발된 자동급수시스템은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환경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무전력 태양전지 패널을 활용하였으며, 비용적인 면에서도 기존 스마트팜에서 사용되는 고기능의 관수제어 장치 가격(12백만 원) 대비 25% 수준(3백만 원)으로 매우 저렴하여 현재 제품화를 추진 중이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간척농지에서 다양한 조건(무굴착 암거배수 간격, 멀칭유무, 심는 간격)에 따른 향부자 생산성을 비교하여 향부자가 생육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확립하였다.

무굴착 암거 배수는 습기 많은 논에 밭작물을 심기 위해 논을 깊게 파지 않고 배수관을 묻어 논의 고유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밭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한 기술이다.

 

간척농지에서 벼 재배와 향부자 재배의 경제성을 비교한 결과, 향부자는 평균 가격이 7,500원/kg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작물이며 생산비를 제외한 10a 당 순수익이 벼는 약 50만 원인데 비해 향부자는 약 150만 원으로 벼 대비 약 3배의 수익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기평 오병석 원장은 “최근 쌀 수요가 급격히 줄어들어 간척농지의 활용도 제고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시점에 향부자 같은 고부가가치 작물을 저비용으로 재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 향후 농가 소득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말했다. 오현승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