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우유급식중단 여파... '잉여우유' 대책 서둘러야

한국낙농육우협회 "학교 개학연기로 인한 낙농가들 잉여 우유수급 처리대책 다급하다"
일본 정부도 '코로나19’ 여파로 우유급식 중단에 따른 긴급대책 나서

한국낙농육우협회 낙농정책연구소(소장 조석진)는 해외낙농소식을 통해 일본, ‘코로나19’로 인한 우유급식중단 긴급대책 실시 내용을 소개하면서, 우리정부도 코로나19로 인한 학교우유 공급중단으로 발생하고 있는 잉여유 처리대책을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낙농정책연구소에 따르면 일본 농림수산성은 지난 3월 10일, 코로나19로 인한 긴급대응책(예산액 4,308억엔)을 책정하였다. 

그 가운데 전국적인 휴교조치에 따른 학교급식용 우유공급 중단에 따른 원유수급 완화대책사업으로 22억9,900만엔(정액보조)을 배정하였다.

 

전국적인 휴교조치에 따라 학교급식용 원유를 유대가 낮은 탈지분유 및 버터 등으로 용도를 전환함에 따른 생산자대책으로 우선, 지역의 학교급식용 원유가격과, 탈지분유용 원유가격에 ‘가공원료유생산자보급금’을 합한 가격과의 차액을 보전하기로 하였다.

또, 잉여유처리를 위해 유업체로 출하처를 변경하여, 광역수송을 하는 경우, 그에 따른 추기비용을 지급하기로 하였다.

탈지분유 등의 용도변경 및 학교급식용 우유처리에 따른 유업체에 대한 대책으로는, 학교급식용 원유를 업무용 탈지분유생산에 사용할 경우, 업무용 탈지분유생산에 따른 재고증가분의 보관료를 보조하기로 하였다.

 

 둘째, 학교급식용 원유를 업무용 탈지분유가 아닌 사료용 탈지분유를 생산할 경우에는, 양자 간의 가격차와 사료회사의 창고에 이르기까지의 수송비를 보조하기로 하였다.

 

 셋째, 유업체가 이미 제조한 학교급식용 우유를 폐기해야 할 경우, 폐기에 따른 비용을 보조하기로 하였다.

초·중·고 학교 개학연기에 따라 백색시유소비량의 8.2%(2018년기준)를 차지하는 학교우유 공급중단으로 인해 낙농업계가 잉여유 처리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원유의 특성상 저장성이 없는 일배(日配)식품이기 때문에 업계에서는 잉여유에 대한 분유생산을 통해 보관하여 분유재고가 증가(2월현재 9,003톤)추세에 있다.

  

또한, 업계에서는 잉여유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멸균유 생산을 늘리거나, ‘우후죽순’격으로 우유 할인(덤핑)판매에 나서면서 우유 시장질서가 붕괴조짐에 있다.

 

한국낙농육우협회 낙농정책연구소 조석진 소장은 “코로나19 관련 우유급식 중단에 따른 한·일 양국정부의 대응이 극히 대조적”이라며, “학교우유가 공공재인 만큼 우리정부도 일본정부와 같이 시장에 적극 개입하여, 원유수매(임가공) 등 코로나19로 인한 낙농산업의 피해 최소화를 위한 조치를 적극 강구해야 한다”며 정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