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코로나19로 직격탄 맞은 낙농업계, 정부의 신속한 대책 필요

낙농육우협회, 농식품부에 코로나19 관련 낙농산업 안정화 방안 마련 긴급요청

코로나19로 인한 초·중·고 학교 개학 연기에 따라 낙농업계가 직격탄을 맞은 가운데, 낙농가단체인 한국낙농육우협회가 정부에 신속한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한국낙농육우협회(회장 이승호)는 지난 3.11일 농식품부에 코로나19 관련 낙농산업 안정화 방안 마련 긴급요청 공문을 발송하였다고 밝혔다. 한국낙농육우협회는 낙농산업 안정화 방안으로, ①관계부처 협의 및 확정을 통해 정부지침 시달(유가공장의 주 52시간 근무 유예, 낙농특성을 반영한 목장 및 유가공장·집유장 관련 대응 매뉴얼 마련), ②분유가공시설 노후화 교체 및 신규 설치자금 지원, ③학교우유 공급 중단 등에 따른 잉여원유 처리지원(원유수매 등) 등을 농식품부에 건의하였다.

    

한국낙농육우협회에 따르면, 학교 개학연기에 따라 백색시유소비량의 8.2%(2018년 기준)를 차지하는 학교우유 공급중단으로 인해 해당 유가공업체의 경우 잉여유 처리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만에 하나 유업계가 감내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될 경우 원유폐기 등 큰 혼란이 예상된다는 것이다.

    

특히 분유가공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유가공업체가 8곳에 불과하고 주 52시간 근무제 제약으로 인해 공장풀가동도 어려워, 분유가공시설 공용화에도 어려움이 발생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유가공장의 한시적 주 52시간 근무 유예 적용과 함께 잉여유 처리를 위해 정부수매(임가공)를 통한 식품업체 공급이 필요하며, 분유가공시설 노후화 교체 및 신규설치 지원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 협회측 설명이다.

    

또한 한국낙농육우협회 관계자에 따르면, 낙농업계 관계자의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시 타사업장과 같은 잣대로 목장 및 유가공장(집유장) 폐쇄 등 방역조치가 시행될 경우 돌이킬 수 없는 큰 혼란이 예상된다며, 보건당국과 적극 협의하여 낙농특성을 반영한 목장 및 유가공장(집유장) 관련 대응 매뉴얼을 시급히 마련해 줄 것을 정부측에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낙농육우협회 이승호 회장은 “지난 2011년 구제역 파동 당시 시판우유가 부족하자 농식품부 주도로 당시 농식품부 장관과 유업체 대표간 MOU체결을 통해 학교우유를 우선 공급한 사례가 있다”라고 설명하면서, “농식품부가 예산당국, 보건당국과 적극 협의하여 공공재인 학교우유 공급 중단에 따른 잉여유 처리 지원, 분유가공시설자금 지원,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시를 대비한 목장 및 유가공장(집유장) 관련 대응 매뉴얼을 마련하는 것이 일분일초가 급하다”라고 강한 어조로 호소하였다.

    

한편, 교육당국이 3.12일 언론을 통해 개학 추가연기를 신중히 검토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코로나19에 따른 낙농업계 파장이 얼마만큼 지속될 것이며, 낙농업계의 바램대로 정부가 발 빠른 대책을 내놓을지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