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안한욱 마니커 사육농가협의회장 긴급성명 내놔

"사육농가 벼랑 끝으로 내모는 배송기사 불법파업 즉각 중단하라”

[현/장/목/소/리] 마니커 사육농가협의회 긴급성명 

마니커 사육농가들은 수년간 지속된 닭고기산업 불황으로 막대한 경제적, 정신적 고통을 감내하며 닭고기산업의 회생을 위해 각고의 노력을 펼쳐왔다.

그러나 사육농가들이 할 수 있는 노력은 국민들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건강한 닭고기를 공급하는 것이 전부이다. 지속된 닭고기산업의 불황의 여파는 고스란히 농가들에게 전달돼 갈수록 거세지는 고통을 받아야만 했다.

 

사육농가들의 소득은 더 많은 닭을 키우고, 더 많은 회전수를 기록하는 것이다. 그러나 불황이 지속되면서 회전수가 급감하면서 농가들의 소득 또한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현실에서 화물차 운전기사들의 불법 시위로 인해 사육농가들은 감내할 수 없는 고통에 ‘곡소리’만 요란해 지고 있다. 당장 출하해야 할 닭들이 농장에서 적체돼 애꿎은 사료만 축내고 있는 현실에 농가들은 피눈물을 흘려야 할 지경이다.

 

화물차 운전기사에게 묻는다. 당신들이 요구하는 직접 고용이 사육농가들과 무슨 관련이 있어 농가들을 볼모로 잡는 다는 것인가. 35일간 허리한번 제대로 펴지 못하고 닭을 키운 보람도 없이 화물차 운전기사들의 불법 파업으로 그 희생을 감내해야 한다는 말인가. 말 그대로 사고는 누가 치고 수습은 애꿎은 사육농가들이 져야 하는 작금의 현실에 어안이 벙벙할 지경이다.

 

화물차 운전기사들의 불법 파업으로 마니커는 일일 7억원의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여기다 마니커에서 닭을 공급받는 프랜차이즈 업체들의 이탈이 가속되면서 마니커의 적자는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될 수밖에 없다. 가뜩이나 산업 불황으로 지난해 150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마니커의 경영악화는 결국 농가들에게 고스란히 전달된다.

 

마니커는 당장 경영악화를 명분으로 농가들의 회전수를 줄이게 될 것이다. 농가들은 통상 7~8회전의 닭을 사육하는데 회전수가 줄게 되면 농가들의 소득은 급감하게 된다. 이런 현실을 야기한 것은 마니커도 아니요, 순전히 화물차 운전기사들의 불법 파업으로 인해 발생한 것이다.

마니커 250 사육농가들은 당당하게 요구한다. 화물차 운전기사들은 불법 파업을 즉각 중단하라!

마니커 250 사육농가들은 화물차 운전기사들이 즉각 불법파업을 중단하지 않고 농가들에게 고통을 가중시킬 경우 단체 행동도 불사할 것임을 천명한다. 농가들의 생존권을 걸고 화물차 운전기사들의 불법파업을 엄중하게 따져 묻겠다는 것이다.

 

마니커 250 사육농가들은 자신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라면 남들의 희생은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화물차 운전기사들의 작태를 지켜만 보지 않을 것이다. 더 이상 농가들의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이다.

 

다시한번 요구한다. 자신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농가들의 희생을 강요하는 화물차 운전기사들은 불법 파업을 즉각 중단하고 현장에 복귀하라. 이후에 발생하는 모든 상황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법적 조치를 취해 책임을 묻겠다. <안한욱 마니커 사육농가협의회장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인증원, ‘지역 상생형 소통·협업 간담회’ 가져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대구지원은 11월 12일에 대구경북디자인센터에서 대구우수식품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지역 상생형 소통·협업 간담회’를 열었다. ‘대구우수식품’은 지역을 대표하는 식품의 인지도 제고와 경쟁력 강화를 위해 대구시가 인증하는 제도이다. 안전하고 품질이 우수한 가공식품을 대상으로 하며, 현재까지 15개 제품이 인증을 받았다. 이번 간담회는 변화하는 식품정책과 제조환경에 맞춰 지역 제조업체와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해썹인증원과 대구시 위생정책과, 대구우수식품 제조업체 13개소가 참석했으며, ▲식품 관련 법률 개정 안내 ▲식품안전관리지침 주요 내용 ▲스마트·글로벌 해썹 제도 소개 ▲현장의 애로사항 및 개선의견 청취 순으로 진행됐다. 참석한 한 업체 관계자는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협업의 장을 마련해 주는 것이 지역 중소업체에게 큰 힘이 된다.”라며, “앞으로도 현장과 공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협력 방안이 계속 논의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전예정 대구지원장은 “이번 간담회를 통해 지역의 목소리를 직접 들으며 상생 협력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느꼈다.”라며, “식품안전과 지역경제의 동반성장을 위해 업체와 긴밀히 소통하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송 장관, “가락시장 공공성 높여야...경쟁으로 유통구조 개선할 것”
국회를 비롯해 전문가들 사이에서 가락시장 등 전국 공영도매시장들의 공공성을 더 높여야 한다는 지적들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유통업체간 경쟁을 촉진시키는데 농산물 유통구조를 개선해 나가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농림축산식품부 송미령 장관은 11월 12일(수) 밤 9시경 서울시 송파구에 소재한 가락시장 야간경매장을 방문하여 배추, 무, 대파 등 주요 김장재료의 출하 상황과 도매가격 등을 점검하고, 도매법인 및 중도매인 등에게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대책이 조기에 성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협조를 당부하였다. 올 김장재료 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여 10% 이상 낮은 수준이며, 주재료인 배추, 무 재배면적이 증가하여 김장성수기(11월 중순~12월 상순) 기간 공급 차질은 없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대아청과 야간 경매장을 점검한 송장관은 가을철 잦은 비로 작황이 일부 부진한 상황에서 기온 하락 폭이 커질 경우 출하가 지연되는 등 수급 상황이 급변할 수 있으므로 출하자들에게 작황 관리를 철저히 해 줄 것을 당부하고, 가락시장 도매법인에게도 산지 작황 및 소비 동향을 수시 모니터링하는 등 산지와 소비지 간 조정을 통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