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안한욱 마니커 사육농가협의회장 긴급성명 내놔

"사육농가 벼랑 끝으로 내모는 배송기사 불법파업 즉각 중단하라”

[현/장/목/소/리] 마니커 사육농가협의회 긴급성명 

마니커 사육농가들은 수년간 지속된 닭고기산업 불황으로 막대한 경제적, 정신적 고통을 감내하며 닭고기산업의 회생을 위해 각고의 노력을 펼쳐왔다.

그러나 사육농가들이 할 수 있는 노력은 국민들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건강한 닭고기를 공급하는 것이 전부이다. 지속된 닭고기산업의 불황의 여파는 고스란히 농가들에게 전달돼 갈수록 거세지는 고통을 받아야만 했다.

 

사육농가들의 소득은 더 많은 닭을 키우고, 더 많은 회전수를 기록하는 것이다. 그러나 불황이 지속되면서 회전수가 급감하면서 농가들의 소득 또한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현실에서 화물차 운전기사들의 불법 시위로 인해 사육농가들은 감내할 수 없는 고통에 ‘곡소리’만 요란해 지고 있다. 당장 출하해야 할 닭들이 농장에서 적체돼 애꿎은 사료만 축내고 있는 현실에 농가들은 피눈물을 흘려야 할 지경이다.

 

화물차 운전기사에게 묻는다. 당신들이 요구하는 직접 고용이 사육농가들과 무슨 관련이 있어 농가들을 볼모로 잡는 다는 것인가. 35일간 허리한번 제대로 펴지 못하고 닭을 키운 보람도 없이 화물차 운전기사들의 불법 파업으로 그 희생을 감내해야 한다는 말인가. 말 그대로 사고는 누가 치고 수습은 애꿎은 사육농가들이 져야 하는 작금의 현실에 어안이 벙벙할 지경이다.

 

화물차 운전기사들의 불법 파업으로 마니커는 일일 7억원의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여기다 마니커에서 닭을 공급받는 프랜차이즈 업체들의 이탈이 가속되면서 마니커의 적자는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될 수밖에 없다. 가뜩이나 산업 불황으로 지난해 150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마니커의 경영악화는 결국 농가들에게 고스란히 전달된다.

 

마니커는 당장 경영악화를 명분으로 농가들의 회전수를 줄이게 될 것이다. 농가들은 통상 7~8회전의 닭을 사육하는데 회전수가 줄게 되면 농가들의 소득은 급감하게 된다. 이런 현실을 야기한 것은 마니커도 아니요, 순전히 화물차 운전기사들의 불법 파업으로 인해 발생한 것이다.

마니커 250 사육농가들은 당당하게 요구한다. 화물차 운전기사들은 불법 파업을 즉각 중단하라!

마니커 250 사육농가들은 화물차 운전기사들이 즉각 불법파업을 중단하지 않고 농가들에게 고통을 가중시킬 경우 단체 행동도 불사할 것임을 천명한다. 농가들의 생존권을 걸고 화물차 운전기사들의 불법파업을 엄중하게 따져 묻겠다는 것이다.

 

마니커 250 사육농가들은 자신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라면 남들의 희생은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화물차 운전기사들의 작태를 지켜만 보지 않을 것이다. 더 이상 농가들의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이다.

 

다시한번 요구한다. 자신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농가들의 희생을 강요하는 화물차 운전기사들은 불법 파업을 즉각 중단하고 현장에 복귀하라. 이후에 발생하는 모든 상황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법적 조치를 취해 책임을 묻겠다. <안한욱 마니커 사육농가협의회장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어촌희망재단, 2026년 농촌형 보육서비스 설명회 성황리 개최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은 최근 대전역 우암홀에서 2026년 농촌형 보육서비스 지원사업 설명회를 지자체 담당자 및 관련기관 담당자 등 약 1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이번 설명회는 2026년에 진행되는 농촌형 보육서비스 지원사업의 추진방향과 세부 운영계획을 안내하여 현장 담당자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마련되었다. 설명회에서는 사업 개요, 주요 변경사항과 공모·선정절차, 일정 등을 안내하였으며, 참석자들은 이를 통해 사업 추진의 구체적인 방향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다. 2026년에는 새벽돌봄(오전 7~9시) 등 현재 돌봄이 미치지 못했던 시간대의 틈새보육을 시범 운영하는 등의 개선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이 자리에서는 주말 돌봄 지원대상의 연령 상향 등 현안사항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며, 정책개선에 대한 현장의 높은 관심과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 우만수 사무총장은 “농촌형보육서비스 지원사업은 농촌의 돌봄 여건을 개선하고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중요한 정책”이라며, “이번 설명회를 통해 각 지역의 창의적이고 지속가능한 돌봄 모델이 현장에 안착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농촌형보육서비스 지원사업은 농촌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어촌희망재단, 2026년 농촌형 보육서비스 설명회 성황리 개최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은 최근 대전역 우암홀에서 2026년 농촌형 보육서비스 지원사업 설명회를 지자체 담당자 및 관련기관 담당자 등 약 1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이번 설명회는 2026년에 진행되는 농촌형 보육서비스 지원사업의 추진방향과 세부 운영계획을 안내하여 현장 담당자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마련되었다. 설명회에서는 사업 개요, 주요 변경사항과 공모·선정절차, 일정 등을 안내하였으며, 참석자들은 이를 통해 사업 추진의 구체적인 방향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다. 2026년에는 새벽돌봄(오전 7~9시) 등 현재 돌봄이 미치지 못했던 시간대의 틈새보육을 시범 운영하는 등의 개선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이 자리에서는 주말 돌봄 지원대상의 연령 상향 등 현안사항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며, 정책개선에 대한 현장의 높은 관심과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 우만수 사무총장은 “농촌형보육서비스 지원사업은 농촌의 돌봄 여건을 개선하고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중요한 정책”이라며, “이번 설명회를 통해 각 지역의 창의적이고 지속가능한 돌봄 모델이 현장에 안착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농촌형보육서비스 지원사업은 농촌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