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농업회사법인 '아침미소' HACCP 황금마크 받아

HACCP인증원,제주지역 유가공분야 최초 안전관리통합인증서 현판 걸어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장기윤)은 11월 15일(금) 제주도 제주시에 위치한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아침미소(대표 양혜숙, 이하 아침미소)에 안전관리통합인증 적용에 따른 인증서를 증정하였다.

 

안전관리통합인증제란 가축 사육, 축산물 처리ㆍ가공ㆍ유통ㆍ판매 등에 참여하는작업장ㆍ업소 또는 농장이 각 단계마다 모두 안전관리인증기준(HACCP)을준수하고 있음을 인증하는 제도로 HACCP이력추적제라 볼 수 있다.

 

이날 안전관리통합인증서 증정에는 HACCP인증원 장기윤 원장, 아침미소 양혜숙 대표 등 양 기관 관계자를 비롯해, 농림축산검역본부 김도범 제주지역본부장, 제주도청 김현주 주무관, 제주시청 고영건 축산물위생팀장 등 총 15명이 참석하였다.

 

 

아침미소는 2010년 ‘아침미소농원’의 HACCP 인증을 시작으로 2015년 가공장(유가공업)도 HACCP 인증을 획득하면서 안전관리 통합인증의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지난해부터 본격적인 안전관리통합인증의 준비를 시작한 아침미소는 HACCP인증을 획득한 농장의 제품만 취급하는 것은 물론, 체험목장 운영에 따른 대인·차량 소독시설의 설치 등 방역에도 만전을 기하였다.

 

아침미소의 양혜숙 대표는 “아침미소에서 생산되는 식품은 소비자의 안전과 위생을 최우선으로 한다”며, “식품안전에 대한 엄격한 품질관리의 결과 목장형 유가공으로는 전국 최초로 싱가폴에 치즈와 요구르트를 수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라고 말했다.  

 

장기윤 원장은 “제주지역 유가공분야 최초로 안전관리통합인증을 받게 된 주식회사 아침미소 양혜숙 대표님과 관계자분들께 축하와 격려의 말씀을 드린다”며 “단순히 통합인증 획득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사후관리가 되도록 아침미소에 많은 관심을 당부드리며, HACCP 인증원도 적극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아침미소는 지난해 안전관리통합인증을 받은 제주웰빙영농조합법인(애월아빠들)과 함께 HACCP인증제품 등에 대해 공동으로 가정배송을 시작할 계획이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자재값 널뛰기' 예방될 듯...농민들 기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11월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공급망 위험 대응을 위한 필수농자재등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안이 가결되었다고 밝혔다. 그동안 정부는 전세계적 금융위기나 러-우 전쟁과 같은 국제정세 불안으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여 이를 사용한 농자재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농가의 경영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조치로 농가에 한시적인 재정지원을 해왔다. 이러한 정부의 지원은 농자재 가격이 급등한 후 취해지는 사후적인 조치에 불과해 농가의 경영불안을 해소시켜 주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정부와 국회는 수개월에 걸친 논의 끝에 공급망 위험으로 가격 상승 우려가 높은 비료, 사료, 유류, 전기와 같은 필수농자재 및 에너지 가격 안정화를 위해 선제적 대응조치와 농가 경영비 부담 완화를 위한 지원방안을 담은 ‘필수농자재등지원법’을 마련하였다. 앞으로 농식품부는 ‘필수농자재등지원법’에 따라 공급망 위험으로 인해 필수농자재등의 가격이 상승할 경우 그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가격 안정을 위한 선제적 조치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선제적 가격 안정 조치에도 불구하고 필수농자재등의 가격이 심각한 수준으로 상승할 경우 농식품부는 지방정부와 함께 농가에 필수농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자재값 널뛰기' 예방될 듯...농민들 기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11월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공급망 위험 대응을 위한 필수농자재등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안이 가결되었다고 밝혔다. 그동안 정부는 전세계적 금융위기나 러-우 전쟁과 같은 국제정세 불안으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여 이를 사용한 농자재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농가의 경영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조치로 농가에 한시적인 재정지원을 해왔다. 이러한 정부의 지원은 농자재 가격이 급등한 후 취해지는 사후적인 조치에 불과해 농가의 경영불안을 해소시켜 주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정부와 국회는 수개월에 걸친 논의 끝에 공급망 위험으로 가격 상승 우려가 높은 비료, 사료, 유류, 전기와 같은 필수농자재 및 에너지 가격 안정화를 위해 선제적 대응조치와 농가 경영비 부담 완화를 위한 지원방안을 담은 ‘필수농자재등지원법’을 마련하였다. 앞으로 농식품부는 ‘필수농자재등지원법’에 따라 공급망 위험으로 인해 필수농자재등의 가격이 상승할 경우 그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가격 안정을 위한 선제적 조치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선제적 가격 안정 조치에도 불구하고 필수농자재등의 가격이 심각한 수준으로 상승할 경우 농식품부는 지방정부와 함께 농가에 필수농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