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농식품 시장다변화, 신남방·신북방 집중 공략

aT, 캄보디아·미얀마, 몽골·러시아 농식품 세일즈 로드쇼 개최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이병호)는 지난 9월 30일부터 10월 5일까지 신남방·신북방지역 농식품 수출확대를 위한 세일즈 로드쇼를 개최했다.    

 

세일즈 로드쇼는 현지 수입바이어와 국내 수출업체의 수출상담회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번 로드쇼는 캄보디아·미얀마, 몽골·러시아에서 6일 동안 총 85개 바이어와 15개 수출업체가 참가하여 184건의 상담을 통해 유자차 100만 달러, 과즙음료 68만 달러, 간편죽 24만 달러, 감귤 18만 달러 등 총 409만 달러의 상담실적을 올렸다.    

 

캄보디아-미얀마 수출상담회에서 ‘유자차, 감귤, 한라봉’ 등 상큼한 맛의 제품이 특히 인기를 끌었다. 그 외에도 아침 식사대용으로 죽을 먹는 식문화가 있는 캄보디아는 가정간편식 ‘죽’ 제품을 수출 유망품목으로 꼽았다. 캄보디아 수입바이어는 “품질 좋은 한국 농식품이 프리미엄 마켓으로 진출한다면 시장 확대 가능성은 매우 클 것”이라고 했다.      

 

 

몽골-러시아에서는 ‘신선 배’가 아삭한 식감과 높은 당도로 선물용에 좋은 프리미엄 과일이라는 평가받았다. 또한 현지 SNS를 통해서도 유행하고 있는 ‘떡볶이, 라면, 과일음료’에 대해서도 바이어들의 관심이 높았다. 

 

몽골에 진출한 한국 유통업체 관계자는 “한류와 더불어 K-FOOD에 대한 관심이 높아, 한국 라면 등 가공식품, 식자재류와 소스류의 매출도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며 “이번 상담회에서 알게 된 제품들에 대해서도 신규 수입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aT는 오는 11월 말레이시아-인도, 폴란드-이탈리아에도 20여개사의 시장개척단을 파견하여 단감, 두유, 흑마늘, 김치 등 현지 유망 프리미엄 농식품을 소개하고, 지속적으로 농식품 수출시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신현곤 aT 식품수출이사는 “한국 농식품이 현지에서 프리미엄 제품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 수요층에 맞춰 마케팅을 세분화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