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포커스

파프리카 '생산총량제' 도입... 농가들 목소리 키워

명동주 회장 "생산시기 조절과 생산총량제 도입으로, 농가소득 안정화 추구 첫 번째 목표" 강조
파프리카 품목광역조직 설립, 종자부터 모든 농자재 공동구매로 비용절감
농업회사법인 '코파' 통해 일본 중심에서 중국 등 수출시장 다변화
자타가 인정하는 ICT, 스마트팜 국내 최고 전문가로 평가

<초/대/석...명동주 한국파프리카생산자자조회 신임회장에게 듣는다!>

(사)한국파프리카생산자자조회(회장 명동주)는 제9대 회장으로 명동주 영농조합법인 아트팜 대표이사가 취임, 2019년 7월 1일부터 공식 업무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명회장은 지난 6월 13일(목) 대전 킹덤에서 열린 (사)한국파프리카생산자자조회 총회에서 단독으로 회장후보에 출마, 제9대 회장에 당선됐다.

 

명회장은 취임사를 통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파프리카를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발전시키고 농가소득의 안정화를 구축하는 것”이라며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생산자가 파프리카 산업을 직접 주도하는 정책의 실현을 위해 힘쓸것“ 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작기별 생산 시기 조정과 생산 총량제를 도입, 안정적인 농가소득을 보장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최우선의 과제이자 목표로 설정”하고, “지역 단위부터 조직화 하는 파프리카 품목광역조직을 설립, 종자부터 모든 농자재 등을 공동 구매, 관리함으로써 원가절감을 통한 모든 회원의 실익을 증진 시키겠다”고 밝혔다.

 

이와함께 “파프리카의 유일한 수출 전문조직인 농업회사법인 코파(주)에 다양한 정부지원정책을 연계시켜 일본중심에서 중국 등 전세계로 수출시장 다변화를 꾀하겠다” 는 포부도 밝혔다.

 

명동주 회장은 현재 전남 강진에서 영농조합법인 아트팜 대표와 수출전문단지인 농업회사법인 탐진들 유통이사를 맡고 있으며, 탐진들 법인(농단)은 43,600평의 유리온실에서 연간 2,170톤(72억원)의 파프리카를 생산, 1,080톤(34억원)은 수출하고 1,090톤(38억원)은 국내시장에 유통하고 있다.  

 

한편, 전남대 농대 출신의 명회장은 우르과이라운드 등의 여파로 농업분야에도 시장개방 압력이 거세지자 정부가 경쟁력 확보차원에서 농업의 첨단화, 현대화 사업을 강력히 추진했던 1994년 고향인 전남 강진에 지역농업인 5명과 함께 영농조합법인 아트팜을 설립하며 농업에 입문했다.

농업을 전공하던 대학시절부터 네덜란드의 첨단 유리온실 시스템을 국내농업에 접목하려 했던 명동주 회장은 법인설립 초기부터 전공을 살린 탁월한 재배전문기술자로 발돋움, 누구보다 파프리카의 재배기술에 대한 자부심이 있다. 현대 스마트팜으로 불리우는 ICT농업의 국내 초창기 선두주자이자 최고의 전문가로 불리고 있어 명회장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검역본부, 제주산 참다래 수출협의체 가동
농림축산검역본부 제주지역본부(지역본부장 고경봉)는 제주산 참다래의 수출 활성화를 위한 ‘민관 협력 참다래 수출협의체’를 본격 운영한다. 이번 협의체에는 검역본부 제주지역본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제주지원,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농촌진흥청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한국농수산물유통공사 제주지역본부 등 5개 기관과 성산일출봉농협, 한라골드영농조합법인 등 7개 수출업체‧생산자단체가 참여한다. 검역본부 및 관계기관은 참다래 수출단지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 국내 채종 수분용 꽃가루 궤양병 검사 지원, △ 농약 안전사용 정보 공유 및 안전성 분석 지원, △ 참다래 재배 전문기술 보급 및 예찰‧방제 현장 지원, △ 참다래 병해충 방제력 마련, △ 수출지원 사업 정보 공유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제주산 참다래의 품질과 안전성을 확보함으로써 수출 확대 및 수출시장 다변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검역본부 고경봉 제주지역본부장은 “이번 수출협의체는 공공기관과 생산자‧수출업체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지역 농산물 수출 활성화를 꾀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라고 하면서, “농가소득 증대 등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협의체 구성단체들과 함께 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