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김치 ‘절임염수' 재활용

-농식품부, 김치제조업체 대상 절임염수 재활용 설비 구축 지원 
-절임염수 재활용을 통해 연간 약 40% 염수사용비용 절감 효과 기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2024년도 ‘절임염수 재활용 설비 구축사업’ 사업 대상자로 김치제조업체 13개소를 선정했다. 


‘절임염수 재활용 설비 구축사업’은 김치제조에 필수 재료인 소금류의 수급불안 및 가격 상승세가 지속됨에 따라 김치제조업체의 원가 절감 등 경쟁력 강화를 위해 올해 처음 도입한 사업으로, 절임염수 재활용에 필요한 여과장치, 오존처리장치 등 시설 구축 비용(국비 30%, 지방비 40%, 자부담 30%)을 지원한다.


국내 상품 김치 시장은 맞벌이 부부 증가 등에 따른 편의를 추구하는 소비패턴 변화와 해외에서의 발효·비건 식품에 대한 소비자 관심·수요 증가로 내수․수출 모두 성장 추세지만, 소금류를 포함한 원재료 비용 상승 등으로 많은 김치제조업체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번 재활용 설비 구축을 통해 절임염수를 최대 20회까지 다시 사용할 수 있으며, 용수 및 소금류 투입비용은 약 44%, 폐수 처리비용은 약 50%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통해 연간 약 40%(절임염수 20톤/일 재활용 시설 기준, 약 1억원 절감)의 염수비용 절감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농식품부 양주필 식품산업정책관은 “이번 절임염수 재활용 시설 구축 지원으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김치제조업체에 많은 도움이 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우리 김치의 국내외 경쟁력 강화를 위한 소비 촉진 및 원료수급안정 등 다양한 지원을 지속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축평원, ‘데이터 분석센터’ 확대 운영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9월 1일부터 기관이 보유한 공공데이터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축산데이터 분석센터를 6개 지원으로 확대하여 운영한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지리적 위치 △데이터 활용 욕구 △데이터 활용 수요 창출 가능성 등을 검토해 세종시 본원에서만 운영되던 데이터 분석센터를 6개 지원으로 확대했다. 공공데이터 활용을 원하는 경우, 사전 신청 후 분석센터에 직접 방문해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그간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인공지능 친화적인 고품질 공공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예방적 품질관리 진단과 역량 교육을 진행해 왔다. 또한 국민에게 필요한 공공데이터를 발굴하고 개방해 공공데이터 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했다. 특히, 제10회 농림축산식품부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 수상작 총 19점 중 4점이 축산물품질평가원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것으로 알려져 노력에 대한 성과를 인정받은 바 있다. 박병홍 축산물품질평가원장은 “축산 관련 다양한 데이터가 적재적소에 활용되어 국내 축산업 경쟁력이 높아지길 희망한다”며, “대학, 생산자단체, 민간 축산기업이 분석센터를 적극 활용해 축산 관련 민간 서비스와 인공지능 기술 발전을 이끌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